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후보
화학요법을 받는 일부 유방암 환자의 시간경과에 따른 피로도의 변화
Patterns of Fatigue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the Time Relapse after Chemotherapy
김명애 ( Myung Ae Kim ) , 이은주 ( Eun Ju Lee )
UCI I410-ECN-0102-2021-500-000149370

본 연구는 처음 항암요법을 시작하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요법의 시간 경과에 따른 피로도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종단 연구로서 암환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중재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시내 소재 K대학 병원에서 I기 또는 II기의 유방암 진단을 받고, AC 혹은 AMF 항암요법의 1차 치료를 시작하는 19명의 환자이다. 피로 측정도구는 Revised PFS-K (Revised Piper Fatigue scale-Korean version)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행동, 감정, 감각, 인지의 네 가지 하부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1년 9월 1일부터 2002년 3월 30일까지였으며, 자료의 수집 시기는 네 시점으로 1차와 2차 항암화학요법 치료 후 각 3일과 중간시점의 각 3일이었다.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여 항암화학요법의 시간경과에 따른 피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개인별 피로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네 시점에서 측정한 점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 집단의 피로는 치료 초기에 높았다가 중간시점에서 낮아지는 것이 반복되는 유의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피로의 네 가지 하위영역별 변화양상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피로점수는 감각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행동영역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화학요법의 시간경과에 따른 각 개인별 피로도는 치료 시작 3일째 피로가 급격히 상승하고 중간 시점에서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지그재그형’, 피로 점수의 변화가 거의 없이 일정하게 높은 양상을 나타내는 ‘지속적으로 높은 형’ , 주기 내내 낮은 경향을 보이는 ‘지속적으로 낮은 형’ , 1차 치료 기간에 비해 2차 치료 초기와 중간에 더 높은 피로를 호소하는 ‘2주기 상승형’ 의 네 가지 유형이 확인되었으며, 이때의 피로 정도는 항암요법 부작용 증상, 정서 상태, 활동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피로 정도가 항암 치료 주기 내, 그리고 주기 간에 차이가 있으며, 개인에 따라 피로 양상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피로를 중재하는 데 있어서 이러한 시기를 활용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개별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상에서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환자와 그 가족에게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책임이 있으며, 환자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피로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다면 이 지식을 자신들의 활동 계획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patterns of fatigue during the first two cycles of breast cancer chemotherapy. Method : This study was a longitudinal descriptive study for 14 women who were receiving chemotherapy with AC(Adriamycin, Cytoxan) or AMF(Adriamycin, Mitotoxin, 5-Fluorourasil) after surgery for stage I or II breast canc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2001 to March 30, 2002. Revised Piper Fatigue Scale-Korean version was used to collect data; self-filling quwstionnaire out and personal interview were performed 3days after chemotherapy 1 and 2 and midpoint of chemotherapy cycle 1 and 2. Result : Total and subscale fatigu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ver time, with higher scores higher at treatments and lower scores at cycle midpoints. Fatigue scores were highest in the sensory subscale dimension and lowest in behavioral dimensions. The data revealed some particular individual types of fatigue patterns named ‘roller-coaster pattern', ‘continuous high pattern’, ‘continuous low pattern’ and '2nd cycle high pattern’. Conclusions : Roller-coaster pattern of fatigue in group and particular individual types of fatigue patterns were identified. This study provides knowledge to assist in development of scientifically based interventions to modify fatigue related to chemotherapy treatment for breast cancer.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성적
고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