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상사 동일시가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실적 중시 풍토의 조절 효과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Identification and Unethical Pro-supervisor Behavior: Moderating Effect of Bottom-line Mentality Climate
이강민 ( Kangmin Lee ) , 권혁남 ( Hyeoknam Kwon )
인문사회 21 10권 5호 201-212(12pages)
DOI 10.22143/HSS21.10.5.15
UCI I410-ECN-0102-2021-000-000154469

국내외 기업에 만연한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이 기업의 이해관계자에게 초래하는 악영향을 고려하면,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을 일으키는 원인과 상황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사 동일시가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 실적 중시 풍토가 상사 동일시와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지 여부를 규명하고자 한다. 기존 이론 및 선행연구를 고찰해 가설을 설정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최종 185부의 설문 자료를 사용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첫째, 상사 동일시가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실적 중시 풍토가 상사 동일시와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 현장에 조직 구성원이 경험하는 상사 동일시의 수준을 정확히 진단하고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 관리해야 조직의 윤리 경영 실패를 초래하는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을 예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던진다.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examine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identification and unethical pro-supervisor behavior, but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bottom-line mentality climate. More specifically, supervisor identification is assum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unethical pro-supervisor behavior. And we predicted that bottom-line mentality climate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supervisor identification and unethical pro-supervisor behavior. Surve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185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types of companies in Korea. To test the hypothes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Supervisor identific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unethical pro-supervisor behavior. And bottom-line mentality climate has not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supervisor identification and unethical pro-supervisor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HR management should determine the levels of supervisor identification that employees have and manage them systematically to prevent employees’ unethical pro-supervisor behavior.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