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체육대학 스포츠동아리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y Study on Sport Club Experiences in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김동환(DongWhanKim) , 김동학(DongHakKim)
UCI I410-ECN-0102-2021-600-000151860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대학 내 스포츠동아리의 활동경험에서 나타나는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상호작용 속에 내제된 가치와 신념체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가운데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내 종합대학교 체육대학 내 스포츠동아리로 연구 참여자는 네 가지 선정준거에 부합하는 8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직접체험방법과 심층인터뷰, 자서전적글쓰기, 개방형설문지를 활용하였고, 문화기술적 분석에 의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첫 번째 결과는 ‘동아리 문화 이해하기: Familyship’으로 나타났으며, 두번째 결과로 ‘동아리 문화 속 갈등: 전통 vs 변화’로 나타났다. 세 번째 결과로는 ‘동아리 문화의 교육가치: 인생을 바꾸는 교육과정’로 나타났으며, 네 번째 결과로 ‘동아리의 역할과 미래: 즐기다 보니 얻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동아리 문화 지속 조건: 다시 시작하기 위한 변화’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members of a sports club in a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experiences of their activities and reveal the values and belief systems in their interactions. To achieve these goals, the ethnographic method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As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eight members of a sports club i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data collection, direct experiential method, in-depth interview, autobiographic questionnaire and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used, and the results were drawn from a ethnographic analysis.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club culture: Familyship’; second, ‘Conflict in the club culture: Tradition vs. Change’; third, ‘Educational value of the club culture: Curriculum changing life’; fourth, ‘Role and future of the club: Things gained through enjoyment!’; and lastly, ‘Condition for continuing club culture: Change to restart.’

들어가기

연구방법

결과 및 논의: ‘G’동아리의 문화 이해하기

‘G’동아리의 문화적 함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