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익스트림 스포츠 참여자들의 하위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하나인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이 적용되었으며, 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관찰, 심층면담, 체험기술지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주제 분석을 기반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반(反) 주류문화’, ‘타협’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두 가지 주요 범주는 각각 두 개의 하위 범주로 나뉘었다. 첫 번째, 반문화는 ‘스포츠 주류문화에 대한 반문화’와 ‘사회 주류문화에 대한 반문화’로 구분된다. 둘째, 타협은 ‘상업주의’와 ‘과학 기술’로 구분된다. 두 가지 주요 범주의 결과는 익스트림 스포츠의 하위 문화적 특성으로 설명 될 수 있다. 익스트림 스포츠의 하위문화는 기존의 현대 스포츠와 사회문화와의 차별성을 드러내며 독특한 생활양식을 형성해 왔다. 연구에서 나타난 특이한 점은 익스트림 스포츠가 주류문화에 저항하는 문화적 산물임과 동시에 익스트림 스포츠의 확대와 개인의 성취욕구 달성을 위해 주류문화에 편입하는 타협의 양면성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익스트림 스포츠의 하위문화는 반 주류문화, 타협의 복합적인 특징이 공존하는 스포츠 영역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of extreme sports. Ethnography,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ir culture. Eight participants who have participated in extreme sports and willingness to join this study were purposively selected. In-depth interview,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participant’s description were collected to get triangulated data.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on the basis of thematic analysis. Result of the study shows firstly that they stand against the mainstream culture, secondly that they admit commercialism and technology in extreme sports. Therefore, ”counter-mainstream culture,” and “compromise,” were screened out as major key words for their culture. Their counter-mainstream culture has two dimensions: resistance to mainstream sports culture and resistance to general mainstream culture. Compromise indicates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commercialism and technology. In su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ve two contradictory stands: they stand against the mainstream culture while, at the same time, they are willing to accept mainstream culture to some extent to get into the mainstream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