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형 Active aging의 활동적 노화정책의 하나인 스포츠복지차원에서 스포츠 케어 지도자 양성과 고령친화사업 확대의 핵심 과제로 AASC(Active Aging Sports Care)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스포츠복지와 사회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방법으로서 WHO, EU, UN, Active Aging Project 자료와 보건복지정책자료, 노인스포츠 정책 세미나자료의 문헌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ctive aging 활동적 노화 정책은 AASC 사업이 노인스포츠 케어 복지정책으로 의료계, 보건복지, 고령화 친화사업이 연계된 여가정책의 핵심적 융합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는 함의와 한국형 Active aging이 노인스포츠 복지국가 정체성이 확립되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점으로 첫째, 스포츠 활동이 건강 증진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대가 요구된다. 둘째, 노인 스포츠 활동은 건강 뿐 아니라 사회참여 기회로 작용하여 무료한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사회적 인식의 전환차원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책적 홍보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노인복지지도자들이 혼재된 정책 시스템에서 독립된 노인복지 건강 스포츠 케어 전문역할의 통합조직으로 재구성하여 선진국형 복지사회 정책기반이 구축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따라 AASC 사업이 한국형 Active aging 정책으로 스포츠 케어 인재양성, 유사 전공학과의 교과목 통합과 고령화 친화사업의 실천적 효과 측정이 피드백이 되어 체계적인 전문 통합조직 구성이 요구된다.
Currently, the government is projecting AASC a key task which is benchmarked from active aging policies of developed countries. To specify, the key issues of this policy are to educate sport care instructors and to foster the elder friendly projects.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of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including organizations reports and official documents from WHO, EU, UN as well as academic journals of active aging, health and welfare policies, and elder sport policies. The study concluded that AASC should be a major task of welfare policy for elder sports care and for this,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the system conversing medical soceity, health-welfare sector, and elder-friendly projects. The study also leads to four notions. First society needs to expand social cognitions regarding economic effects of sports activities on health promotion. Second, for public recognition about this issue, the government should advertise the effects that elder sport activities lead to their health life and opportunities to be part of the community, escaping from a meaningless life. Third, it is necessary for welfare instructors of elders to build their own central organization which provides professional guideline, services, and even develop initiatives assisting governmental policies. Finally, AASC should play a role as active aging policy of Korea and it should be used to integrate academic sectors discussed ab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