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신체활동 기반 전통놀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실시된 연구 가운데 총 27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신체활동 기반 전통놀이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 범주형 변인에 따른 하위그룹분석, 연속형 변인에 따른 메타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선효과모형를 이용한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136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그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사회성 하위영역별로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협동성, 또래 간 상호작용, 자율성, 타인이해성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 특성, 신체활동 프로그램 진행방식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참여기간, 참여시간, 참여인원이 효과크기의 차이를 설명하는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후속연구와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meta-analys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based on traditional plays. A total of 27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hrough 2016 were selected. This study calculated 'standardized mean-change difference effect size' including overall effect size, effect size of sub-group analysis, and meta-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value based on the random effect model was 1.136, and it was positive and large effect. Secondly, the effect of sociality domain was cooperation, peer interaction, autonomy, understanding of others in order. Third, effect sizes were compared in regard to moderator variables including participant characteristics, program method to progress. As a result, exercise duration, exercise time, and the number of group were moderator variables that explain the differences in effect siz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implementation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