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노인 스포츠클럽 참가자의 세대 간 의사소통 단절의 형태와 이에 따른 스포츠클럽의 비효율적인 활동을 분석하여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노인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테니스, 배드민턴, 탁구 종목에서 스포츠클럽에 10년 이상 활동한 경력자들로 총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연구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노인 스포츠클럽 참가자의 생활세계와 세대 간 의사소통은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에서 생활세계의 구조적 요소인 문화, 사회, 인성으로 설명된다. 문화 측면에서는 경험적, 세대차이적 비축지식에 따른 의사소통의 단절로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관계, 소속의 정당한 질서를 위한 의사소통의 의지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인성적 측면은 태도적, 표출적 정체성에 따른 의사소통 주장을 통해 개인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둘째, 노인 스포츠클럽 참가자의 체계와 세대 간 의사소통은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에서 체계 개념을 화폐(경제체계)와 권력(행정체계) 매체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노인 스포츠클럽 참가자들은 자신의 영향력을 나타낼 수 있는 도구로 화폐 매체를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권력매체는 정부의 행정기관이 스포츠클럽 운영에 있어 구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스포츠클럽에서 임원의 역할은 권력적 위치라기보다 스포츠클럽을 위해 봉사하는 자리로 인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ypes of the communication gap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er generations of sport participants and an inefficient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generation in sport club by a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 younger generations.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those who have taken part in tennis, badminton, and table tennis over 10 years. A total of 12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each sport event. The participants in each sport event consist of two males and female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non-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related documents from May to September 2016.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participants’ life style and communication with the younger generations in sport clubs explains culture, society and personality which is the structural factors of lifestyle according to communication action theory by Habermas. Second, according to communication action theory of Habermas, the structure of the elderly participants in sports club and communication gap with the younger generations is explained by money such as economic structure and authority such as administrative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