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행복감 및 건강증진행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합적이고 구조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포츠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일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표집하였고 실제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구조모형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이론 모델로 적합한 모델임이 확인되었으며,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스포츠센터 프로그램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센터 프로그램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센터 프로그램 참여자의 심리적행복감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포츠센터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는 신체적 자기개념을 강화할 수 있으며 규칙적인 운동은 삶의 질 향상과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건강행동에 긍정적 변화를 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physical self-concept of a member of sports center and the structural inter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health exercises, so that suggest the effective physical activities. I compiled and analyzed data on general male and female who attended the program of sports center. As a result, the fit-index of study models was generally good. For detail index, physical self-concept of participant in the program of sports center influences psychological happiness as well as the will to health exercises. This showed that physical self-concep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behavior. This study revealed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of sports center is effective to improve physical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nd the will to health exercises improved by physical self-concept are the main factor to encourage people to take care of self-contentment, self-worth and health. High level of physical self-concept will enhance the happiness index of cognitive and emotional condition, and improve positively the quality of life via the will of health exercises and prevention of disease for health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