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고령화와 더불어 건강증진 차원에서 고령자의 운동관련 사업이 확장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사업수행 시 신체 손상 및 운동으로 인한 상해를 예방하고 개개인에 맞는 적절량의 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참가자의 체력을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필요하다. 여러 측정도구 중 Rikli와 Jones가 고안한 노인체력검사(SFT)는 외국에서 타당도 및 신뢰도가 입증된 바 있으며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역사회 거주 여성고령자 대상으로 SFT 검사의 활용가능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외국의 연령대비 기준치와 비교하고 연령 변화에 대한 기능저하를 반영하는지 검증하였다. 570명의 여성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나기(z=.18), 아령들기(z=.53)는 기준치보다 높은 반면 견관절 유연성(z=-.86), 2분 제자리 걷기(z=-.38)는 낮은 양상을 보였으나 정상범위 내에 있었으며 모든 항목과 연령간의 음의 관계를 보임으로써 SFT의 국내활용이 타당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으며 향후 타당도와 신뢰도검사를 보완하여 활용범위기 확장되길 기대해본다.
With rapid ageing in Korea, various strategies and programs for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have been introduced by government and local-communities. Understanding individual functional fitness is crucial to reduce the physical impairments and maximize the effect of exercise. Senior fitness test developed by Rikli and Jones has documented validity/reliability and provided national normative data.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using this comprehensive test battery to describe the functional fitness of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older adults, this study compared the measured values with the normative standards and examined it’s association with age. Although chair stand (z=.18) and arm curl (z=.53) are higher and back scratch (z=-.86) and 2 minute step test (z=-.38) were lower than what could be expected for their age, all valu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nd all test item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aging. In conclusion, SFT is valid to apply for testing fitness for Korean older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