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미국 스포츠문화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미국 스포츠의 근대화가 일어나기 직전인 19세기 초부터 20세기까지, 미국 스포츠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활력의 코드와 공화주의적 전통이 결합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미국 스포츠문화의 코드는 활력이다. 공화주의적 전통의 평등 사상은 공공결사체를 구성하는 미국인들의 사고방식에 토대가 되었고, 이는 스포츠에서도 수많은 클럽과 단체들이 조직되는 밑거름이 되었다. 태생적인 이주민 문화의 미국적 성격은 언제나 젊음을 추구하는 청년기적 문화의 모태가 되었으며, 이는 활력을 상징하는 스포츠가 청소년들의 교육수단은 물론 청년 시민으로서 꼭 갖추어야 할 Institution으로 자리 잡는데 기여했다. 또한 남북 전쟁 이후 새로운 미국의 정체성을 도모하기 위한 진보주의적 운동에서 스포츠는 활력의 코드를 미국의 국가적 정체성으로 정착시키는 핵심적인 매개체였다. 두 번의 세계대전을 거치고 냉전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미국 스포츠문화의 활력 코드는 ‘Toughness’에 대한 숭배로 변질되기도 하였지만, 강인한 미국인에 대한 이상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개인주의의 변화와 자아에 대한 관념의 변화로 미국의 스포츠는 자아충족을 지향하는 ‘Self-Strenuosity'의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American sport culture. The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merican sports from early 19th to the 20th, focusing on American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seek vitality. The cultural keyword of American sport was 'strenuosity.' The republican-based egalitarianism became the basis of Americans' way of thinking that formed public associations, which in turn led to the formation of various clubs and associations in sports. The American feature that assumed the immigrant culture became the matrix of the young culture that always pursues youth, and this led sports to become a means of adolescent education and an institution for youthful citizen. Furthermore, sports played a key role in progressive movements to promote new 'national identity' of America after Civil War by transforming 'strenuosity' into the national identity of America. During the period of cold war after WWII, the strenuosity moved to the worship of 'Toughness,' but the longing for strong Americans lasted. However, the change in individualism and the concept of 'self' in the postmodern age led American sports to develop into 'Self-strenuosity' that aimed for self-fulfill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