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스포츠생리학 / 유산소성 운동이 정상체중과 비만여고생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in Normal Weighter And Obese High School Girls
차성웅(SeongWoongCha)
UCI I410-ECN-0102-2021-600-000209269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유산소성 운동프로그램에 의한 정상체중과 비만여고생의 신체조성을 4주 간격으로 그 변화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 J여자고등학교 학생을 모집단으로 의도적 추출법에 의하여 BMI가 20∼24㎏/m2를 정상체중집단(nonobese group), BMI가 27.0㎏/m2)이상을 비만집단(obese group)으로 나누어 각각 8명씩을 대상으로 하였다. 12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에 의한 신체조성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운동강도는 최대심박수의 60∼85%, 운동빈도는 주 4회, 운동시간은 매회 60분간 실시하였다. 비교군인 정상집단은 연구절차에 따라 실험군인 비만집단과 동일하게 걷기, 조깅, 계단오르기, 에어로빅 댄스의 운동을 수행하게 하였다. BIA에 의한 신체조성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즉, 정상체중과 비만집단간 비교에서 체수분, LBM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체지방과 체중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집단내에서는 정상체중집단이 체수분과 LBM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체지방량과 체중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비만집단이 체수분과 LBM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체지방량과 체중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 의하면 12주간의 유산소성 운동 실시 전, 4주 후, 8주 후, 12주 후 정상집단과 비만집단간에는 변인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두 집단내에서는 신체조성 중 체수분, 체지방, LBM, 체중 등 전반적으로 개선을 가져왔으며, 이러한 운동의 효과는 정상체중집단보다 비만집단이 더 크게 나타나 이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the body composition in normal weitgher and obese high school girls. Sixteen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 (a) normal group(BMI : 22-24㎏/m2) and (2) obese group(BMI : ≤27㎏/m2). They were under the same exercise conditions to perform the aerobic exercise training with intensity of 60∼85% HRmax and 13∼15 RPE, for 60min/day, 4 times/week during 12 week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ollows as below: Among the elements of body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aerobic exercise body water and LBM showed non significant difference, but body fat and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In the comparison within group, body water and LBM of both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but body fat and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oth groups did show particular difference in their body composition. The aerobic exercise of 12 weeks, however, has incurred the general improvement in those elements controlling the body composition. This improvement seems to have helped each subject with healthy condition.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 의
V.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