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토마스 휴즈가 스포츠에 부여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그는 변호사·노동자 학교 교장·국회의원·판사 등을 지낸 "기독교 사회주의" 운동가였으며, 아놀드 교장이 재직했던 시절 럭비 스쿨을 다녔고, 그 경험을 기초로 『톰 브라운의 학창시절, (1857년)』이란 자서전적인 소설을 펴냈다. 이 작품은 19C 후반 영국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키며 베스트 셀러가 되었고, 엘리트 교육 체계에 스포츠 붐을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했기 때문에 체육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작품 속에는 육상·승마·레슬링·백-스워딩(back-swording)·산보(散步)·머드-패티스(mud-patties)·크리켓·헤어 앤드 하운드(hare and hounds)·복싱·수영·파이브즈(fives)·풋볼(럭비) 등과 같은 스포츠 종목들이 언급되어 있으며, 주인공 톰 브라운은 탁월한 스포츠맨으로 묘사되어 있다. 작가의 스포츠 교육관이 잘 나타나 있는 것이다.
작품에 나타난 휴즈의 교육관은 기독교직인 신념에 입각하여 행동하는 기사(騎士)다운 신사의 양성에 초점을 둔 것이며, 그 목표 개념은 "정직·용감·예의·친절·공명정대·남성다움, 책임감·의무감·협동(특히 약한 자의 편에서는 성격 특성) 등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휴즈가 스포츠에 부여한 교육적 의미는 크게 두 가지로 파악되었다. 첫째, 스포츠는 남성다운 신사의 기초 자질인 강인한 신체의 육성과 정신력의 배양 수단이라는 인식이며, 둘째, 스포츠는 기독교적인 신념의 바탕 위에 전체를 위하여 자신을 희생할 수 있는 진정한 용기 - 남성다움 - 의 함양 수단이라는 인식이다. 휴즈는 이 작품을 통해 사회 진화론적(社會進化論的)인 시각을 바탕으로 강인한 신체와 정신력, 그리고 팀 스피리트를 예찬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강건한 기독교 주의의 이상과 일치되는 스포츠 교육관(敎育觀)으로 파악되었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trace the Thomas Hughes’ educational outlook on sports as is found in his autobiographic novel 『Tom Brown’s Schooldays』. Thomas Hughes was a cricketer, boxer, lawyer, politician, and church reformer. He was a great all-rounder and 『Tom Brown’s Schooldays』 probably had more influence on his contemporaries. Tom Brown’s Schooldays is a pictorial novel of Hughes’ own Rugby school days. So like Tom Brown, he was sent to Rugby School whose headmaster was the eminent educationalist, Dr. Thomas Arnold.
In this novel, Hughes gives vivid descriptions of various kinds of games such as football, cricket. fives, boxing, bare and hound, back-swording, and mud-patties. Hughes describes his hero - Tom Brown - as Christian gentleman, unselfish, modest, frank, honourable and a truly religious young gentleman, even though he tries to conceal it. And also Tom was described as a thoroughly English boy - kind, courageous, vigorous and funny, though no great adept at Greek and Latin, a first rate cricketer, climber and swimmer, fearless and skilful at football, and by no means adverse to a goad stand-up fight in a good cause.
As we know, the robust talisman, Tom Brown, speedily attracted the label, "muscular Christianity" in the English public school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omas Hughes’ educational outlook was based on muscular Christianity. Tom Brown’s Schooldays reveals his educational outlook on sports that manly sports (team games in particular) are highly effective means of inculcating valuable instrumental and expressive goals - physical and moral courage, cooperation, manliness and the ability both to command and obey - the famous ingredients of character training. His ideal of a gentleman was a chivalrous and manly gentleman, and manly sports were believed as effective means of training a chivakous gentle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