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스윙동작시 나타나는 근육활동을 근전도(electromyography) 측정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근전도 측정치를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비교하기 위하여 스윙동작의 변화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6단계로 구분하였다. 즉 Early take away, Late take away, Forward swing, Acceleration, Early follow-through, 그리고, Late follow-through이다. 근전도 측정을 위해 8벌의 전극을 피험자의 좌우 양쪽 몸통부위 근육에 부착후 각 근육별 최대 정적 자율수축(maximum isometric voluntary contraction) 근전도치를 측정하였다. 측정 근육부위는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척추기립근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프 스윙동작시의 각 근육별 근전도 분석은 우선 측정치를 full-wave 정류한 후 최대 자율수축 근전도치로 나누어 표준화 한 다음 각 단계별 평균 및 최대 표준 근전도치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좌우 양쪽 복사근 및 척추기립근은 골프 스윙 전 단계동안 대체적으로 높은 근육 활동을 보여 주었는데 이는 위의 근육들이 둔부에서 발생한 파워를 상체로 전달해 Forward swing 단계를 시작하고 제어함은 물론 임팩트 후 몸의 움직임을 감속하는 역할에 기인한다 하겠다. 일반적으로 척추기립근의 주된 역할은 척추의 안정된 상태 유지인 반면 복사근은 몸통의 굴곡 및 회전운동을 발생시킨다고 알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척추기립근이 특이하게도 Early follow-through 단계동안 과거 다른 연구결과보다 훨씬 높은 근육 활동을 보이고 있다. 이는 아마 피험자의 스윙 스타일이 파워를 중시, 하지를 최대한 고정시켜 몸통 회전을 극대화하는 모던 스윙 스타일(modern swing style) 때문이라는 추측을 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골프 스윙 전 단계동안 나타나는 복사근과 척추기립근의 계속적인 높은 근육 활동들은 궁극적으로는 이들 근육들을 피로하게 만든다. 이는 곧 요추부상이나 요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피로한 근육의 결손을 보상하는 보조 근육군마저 부상의 위험에 빠트릴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and compare the selected electromyographical (EMG) muscle activities of trunk during a golf sw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golf swing was broken into the six phases - 1) Early take away, 2) Late take away, 3) Forward swing, 4) Acceleration, 5) Early follow-through, and 6) Late follow-through.
Eight pairs of electrodes were placed on selected muscles on both sides of the body: rectus abdominus,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erector spinae muscles. The EMG data were full-wave rectified and normalized to the maximum isometric voluntary contraction (MVC) EMG levels (100%). The average and maximum normalized EMG values for different phases were computed for the selected trial.
The abdominal oblique and erector spinae muscles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activity bilaterally throughout the golf swing. They functioned to initiate and control the forward swing, transmit the power initiated in the hips, and decelerate the body after ball impact. The back muscles may primarily contract for stabilization while the abdominal muscles may contract for the trunk flexion and rotation. Interestingly,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ctivities of back muscles during the early follow-through phase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evious reports (Pink et al., 1993). The rotation of trunk during the entire golf swing was also relatively high while that of lower extremity was somewhat constant. This may happen that the subject adopted to not the traditional swing but the modern swing style. The high and consistent level of activity denotes a propensity to fatigue in these muscles, causing injury not only to the lower back but also to secondary muscle groups, which attempt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trunk muscle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