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프로야구 선수 162명을 대상으로 운동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원(stressor)을 추출하여 첫째, 프로야구 선수들의 스트레스 척도를 제작하고, 둘째, 그 스트레스와 관련된 몇 가지 하위 척도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함이 연구의 목적이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3가지 과정을 거쳤다. 첫째,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요인을 수집했다. 둘째, 해태야구 선수를 4개 포지션 별로 나누어 심층면담을 했다. 이것은 국내 프로야구 선수들의 운동 스트레스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예비연구(pilot study)였다. 셋째, 앞의 두 과정에서 추출한 136개 스트레스 원을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문항의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를 검증했다.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해 83개 예비문항을 추출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4개의 하위 척도로 구성된 23문항이 채택되었다. 각 하위요인별 스트레스척도는 각각 시합관련 스트레스, 수행관련 스트레스, 사회환경관련 스트레스, 선수지원관련 스트레스였다.
이 하위 요인인 스트레스와 성격, 사회적 지원, 대처, 긴장, 만족간의 관계를 상관 분석한 결과, ① 성격에서는 수행관련, 선수지원관련 스트레스에서 A형 행동성향과 상관이 있었고, ② 사회적 지원은 시합관련 스트레스와 팀동료간에 정적 상관, 수행관련 스트레스는 부모, 팀동료, 부인과 정적상관, 선수지원관련 스트레스는 부모, 부인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③ 긴장은 시합관련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 적대감과 선수지원관련 스트레스는 신체와, 불안, 우울, 적대감 모두 적대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만족간에서는 시합관련 스트레스와 코치, 감독, 선수후원에서 역상관을 보였고, 수행관련 스트레스는 코치, 감독간에 정적상관, 사회환경관련 스트레스는 팀동료, 팀운영에서 정적상관, 선수지원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선수후원간에 정적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A/B Type, 사회적 지원, 대처를 예언변인으로 하고 긴장, 신체화, 만족, 대처를 종속변인으로하여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긴장 및 신체화의 예언변인은 A/B Type과 대처가 20.2%를 설명했다. 신체화에서는 A/B Type과 대처가 20.3%를 설명했고, 만족에서는 사회적 지원, A/B Type, 스트레스가 전체변량의 19.4%를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대처의 예언변인은 A/B Type과 사회적 지원이 38.6%를 설명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stress scale by extracting the pro-baseball player’ stressor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mediator variables and result variables concerned with their stress. The subjects are 162 pro-baseball players. To achieve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three steps of processes are made as follows: (a) we collected the factors of stress from literatures and researches; b) we interviewed Haitai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in terms of their positions; and (c) we asked the expert scholars to examine the 136 stressors and gained their reliability and content validity from them.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4 subfactors which have 23 items. The 4 subfactors are named competitive. stress, performance stress, social-environment stress, and athlete support stress.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 type’s performance stress and athlete support stres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competitive stress, and team members’ social suppor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formance stress and parents’ team members’, and spouses’ social suppor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train and anxiety, depression, and hostilit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thlete support stress and somatization, anxiety, depression, and hositility.
There a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ompetitive stress and players’ satisfaction with coaches, managers, and support of athletes; correlations between performance stress and players’ stress from coaches and management; correlations between social-environment stress and stress from team colleagues, administration of team, athlete support stress, and supporting athletes.
In the analysis of the stepwise regression, there are A/B type and copy predicting the strain and somatization, and they explain 20.2% of them. There are social support, A/B type, and stress predicting the satisfaction, and they explain 19.4% of it. There are A/B type and social support predicting the copy, and they explain 38.6% of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