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대사회는 급속도로 변화되고 복잡해지면서 대학생들의 사회적인 경쟁 구도는 한층 더 심화되고 그에 따른 심리적 불안 요인과 갈등 상황 등은 자존감 및 자아 정체성에 연관이 되며 대학생의 긍정적 자아(自我) 형성을 어렵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정서교육의 일환으로, 자아를 주제로 한 그림책 창작 활동이 나를 돌아보는 성찰과 이해로 대학생 자아 인식의 계기에 조금이나마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가설하고, 이를 통해 나타난 시각적 표현 및 디자인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교육 방안 모색과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자아를 주제로 한 그림책 창작 활동에 대한 프로그램을 수도권 소재의 S 여대에서 48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미술 전공계열 11명과 미술 비전공 계열 37명의 두 그룹으로 나눠 비교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자아를 주제로 한 그림책 창작 활동을 통해 자아 인식에 계기가 되었는가?>에 대해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서 일 표본 t 검증을 한 결과, 전체 학생이 “자아를 주제로 한 그림책 창작 기간자아 인식 계기가 되었다”는 (H0:M=6, H1:M> 6) 유의 확률값이 0.002/2= 0.001로 0.05보다 작으므로 유의 수준 5% 하에서 응답 평균이 6보다 크다 할 충분한 근거가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미술 전공 계열과 비전공 계열 학생의 비교에서 비전공 계열 부류가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비전공 계열 학생들 사이에 디자인에 관한 관심과 수요를 의미하며 현재 타전공과의 디자인융합 교육 기반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프로그램 결과에 나타난 긍정적, 부정적인 여러 요소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디자인 융합 교육 및 대학 교과목의 다양한 수업 프로그램으로 응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rapidly changes and complicates the social competi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resulted psychological instability and conflict are related to the self-esteem and self-identity, making it difficult for university students to form a positive self. As part of the emotional education through design,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self-creating activities under the theme of self-help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awarenes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one self. The impact of this on visual expression and design learning was explored and the feasibility of education methods were considered. Accordingly, the program on self-picture book creation activities was tested by dividing students into two groups. 11 students in art majors and 37 students in non-art major from 48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S Women's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rough a pre and post examination of the question, < Did the creation of self-themed picture books inspire self-awareness? >, verification of the daily samp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that the probability value of a significant probability is 0.002/2= 0.001 (H0:M=6, H1:M> 6), which is less than 0.05, indicating that the response average is greater than 6 under the significant level of 5%. In addition, the non-public classes showed a high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hich means interest and demand in design among non-technical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he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base with other majors at the present. Based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gram,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ill be applied to a variety of courses in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and college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