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양식 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수산생물의 생산량 증가와 함께 질병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수산용의약품의 사용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수산용의약품은 수산생물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필수적인 반면, 의약품의 오·남용으로 인해 항생제 내성균 증가 및 수산식품의 위생학적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위치한 모든 수산질병관리원을 조사하고, 여기서 판매되는 수산용의약품을 지역별로 2012년과 2015년에 비교 조사하였다. 더불어 수산용의약품의 판매경로를 조사함으로서 수산식품안전성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향후 연구에서는 수산양식장에서 직접 사용하는 의약품의 양을 집계하여 본 연구 결과와 비교분석 후 효과적인 수산용의약품 관리체계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Due to the rapid global expansion of aquaculture industry during the past decades, production volume of aquatic organisms has accordingly grown. This has been accompanied by a rise in the incidence of diseases in aquatic organisms, leading to an increased use of aquatic medicines. While aquatic medicines are essentia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of aquatic organisms, misuse can cause evolution o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and pose serious problems to the safety and hygiene of fisheries products. In this study, we surveyed and compared, by analyzing data compiled by all national control centers for aquatic animal diseases in South Korea, to estimate the amount of aquatic medicines sold in different regions between 2012 through 2015. Since we also examined the marketing routes of aquatic medicines, this basic data can be utilized for policy implementation to improve drug safety. In the future research, however, it will be clearly necessary to estimate directly the amounts of drugs actually applied to aquaculture organisms. The current sales figure data should be helpful for preparation of an effective system for aquatic drug us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