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16세기에 형성된 힉소스 전승은 오랜 세월을 지난 헬레니즘 시대부터 인종차별적인 반유대주의의 모습으로 부활되었다. 즉, 이집트로 진출하여 정착했던 가나안 출신의 힉소스 집단이 기원전 1540년을 전후한 시기에 이집트 원주민 세력에 의해 쫓겨나 다시 고향으로 돌아간 사건은 오랜 시간이 흐른 뒤 “악의 세력에 의한 이집트 침공과 신의 형벌로 인한 탈출”이라는 신화로 대체되었다. 힉소스는 이미 기원전 13세기 람세스 2세시대에 이집트를 혼란에 빠트렸던 대표적인 집단으로 인식되었다. 기원전3세기 이후 헬레니즘 시대에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형성된 이방민족에 대한 배척 운동은 곧 바로 유대인 집단에게 적용되었는데, 아마도 입-출애굽 전통을 공유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671년부터 시작된 일련의 외국 세력들의 이집트 침공을 통해 이민족에 대한 증오와 인종적 차별을 더욱 심해졌다. 이집트의 반유대주의는 페르시아의 지배에 놓였던 기원전 5세기 말 엘레판틴에서 그 기원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이집트가 독립했을 때가 아니라 외국 세력의 식민지로 전락했을 때 유대인들이 이집트인들에 의해 박해를 받았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유대인 공동체는 그들의 민족적, 종교적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당시 통치 세력들에게 최대한 충성할 수밖에 없었다. 바로 이런 점이 현지인들의 증오와 비난의 대상이 됐다. 이러한 구도는 프톨레마이오스 정권 하에 알렉산드리아에서 더욱 발전되었고, 이집트인들 뿐만 아니라 그리스인들까지 반유대적 성향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헤카타이오스에 의한 이민족의 이집트 탈출 모티프는 유대인의 출애굽과 맞물려 비슷한 유형의 힉소스의 출애굽과 비교되는 근거가 되었으며, 마네토를 비롯한 후대 역사가들이 이것을 인용하면서 반유대적인 선입관이 개입되기 시작했다. 특히 예루살렘 성전에서 당나귀를 섬겼다는 비난은 유대인들을 당나귀 상징의 세트 신을 수호신으로 숭배했던 이집트의 힉소스와 연관시키는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했다.
The Hyksos tradition which was originally formulated in the 16th century B.C.E. has been resurrected in the Hellenistic period with a disguised transformation of anti-Judaism. The expulsion of the Hyksos was reenacted over and over again, and the motif of victory over a threat of foreign occupation became a fixed motif. The historical aspects of the Hyksos tradition had been substituted in the late period by a mythical theme - the invasion of Egypt by evil powers and their expulsion with god’s wrath. In terms of anti-Jewish propaganda, the story of how the Jews, afflicted with leprosy, were forcibly expelled from Egypt enjoyed popularity in both Greek and Latin literature. We have here a gap of almost one thousand years between the historical expulsion of the Hyksos and anti-Jewish movement at Alexandria. During this period, the successive invasions of the Assyrians, the Babylonians, the Persians, and the Macedonians may have created a perception to the Egyptians that the destroyer always appeared suddenly from the north as similar as the Hyksos did before. While Hecataios of Abdera is devoid of a strong anti-Jewish feelings, and simply tried to make a rendered history appropriate to a vast multi-ethnic atmosphere, Manetho had emphasized misanthropic aspects of the Jews when he quoted his relevant phrases. Another piece of evidence of anti-Jewish sentiment came from the sacrilegious blame of ass-worship in the Jewish temple of Jerusalem. One of aspects of Seth is the divine foreigner and he is identified with Baal, the god of the Canaanites. The ass being the symbolic animal of the god Seth whose cult the Hyksos had embraced at Avaris, there appeared another possibility to associate Jews with the Hyks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