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우수
언어접촉으로 보는 ‘한자음’의 성격과 분류
Features and Classification of Sino-Korean Sounds on the Perspective of Language Contact
안영희 ( An Ying-ji )
국어학회 2018.09
국어학(國語學) 87권 211-236(26pages)
DOI 10.15811/jkl.2018..87.007
UCI I410-ECN-0102-2021-700-000255466

본고는 언어접촉의 시각에서 ‘한자음’을 중간어로 보아 그 성격을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언어접촉의 과정은 크게 두 단계 즉 제1단계의 직접접촉과 제2단계의 간접접촉이 있다. 각 단계마다 ‘대응[匹配], 발달[進階], 간섭[干擾]’의 세부적인 단계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언어접촉의 방향이 있다. 모어가 한국어이고 목적어가 중국어이면 한중언어접촉이고, 모어가 중국어이고 목적어가 한국어이면 중한언어접촉이다. 제1단계 직접접촉에서 생성된 중간어를 ‘중간어1’이라하고 제2단계 간접접촉에서 생성된 중간어를 ‘중간어2’라 한다. 직접접촉의 중간어1은 목적어 영역 범주에 있고, 간접접촉의 중간어2는 모어 영역에 있어 서로 다른 성격을 갖고 있다. 중세 한국어 시기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洪武正韻譯訓≫(1455)은 한중언어접촉에서 제1단계 직접접촉의 중간어1이고, ≪朝鮮館譯語≫(15세기 추정)는 중한언어접촉에서 제1단계 직접접촉의 중간어1이다. 이에 전자를 韓中直譯音이라 부르고 후자를 中韓直譯音이라 불렀다. 그리고 같은 중간어1이라도 더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1517년 이전)의 우측음과 좌측음은 각각 韓中直譯音a, 韓中直譯音b이다. ≪東國正韻≫(1448)은 한중언어접촉에서 제2단계 간접접촉의 ‘중간어2’이며 이를 전통적인 명칭에 따라 ‘韓國漢字音’이라 부른다. ≪東國正韻≫(1448)과 현실한자음의 관계는 제2단계 간접접촉의 세부단계 분류로 각각 韓國漢字音a와 韓國漢字音b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訓民正音≫(1443)과 ≪東國正韻≫(1448)은 모두 23자모와 7모음의 같은 음운체계를 갖고 있는데 이는 ≪訓民正音≫(1443)이 중국 역사음운학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Features of Sino-Korean sounds which are treated as an interlanguage in this paper is analyzed and class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contact. The process of language contact can be divided into two phases. The first phase is direct contact, and the second phase is indirect contact. Interlanguage of the first phase is analyzed as “interlanguage 1” while that of the second phase is analyzed as “interlanguage 2”. Each phase can still be divided into several other phases such as “match”, “development”, “interference” and so on. Literature of Middle Korean is mainly analyzed in this paper. The sound of Korean in Hongmujeongun Yeokhun(1455) is classified to be “interlanguage 1” which is a result of transliteration of Chinese into Korean(Korean-Chinese transliteration) and in Joseonkwan Yeokeo which might be published in the 15th century the Korean sounds are also analyzed as “interlanguage 1”, but it is caused by transliteration of Korean into Chinese(Chinese-Korean transliteration). Also, “interlanguage 1” can be subdivided. For instance, in Beonyeok Nogeuldae and Beonyeok Baktongsa there are “sounds on the right” and “sounds on the left”. One is analyzed as the “Korean-Chinese transliteration (a)” in the phase of “match” since the other one is analyzed as “Korean-Chinese transliteration (b)” in the phase of “development”. Korean in Donggukjeongun(1448) is analyzed as “interlanguage 2” caused by indirect language contact which is also being called “Sino-Korean sounds” traditionally. In this paper, the Sino-Korean sounds in Donggukjeongun are analyzed as “Sino-Korean sound (a)” which is in the phase of “match” compared with the actual Sino-Korean sounds which are analyzed as “Sino-Korean sound (b)” in the phase of “development”. There are 23 consonants and 7 vowels in both Hunminjeongeum(1443) and Donggukjeongun(1448). I think such similarity is caused by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Chinese phonology.

1. 서론
2. 언어접촉과 ‘한자음’의 생성
3. 직접접촉 ‘한자음’의 정의와 분류
4. 간접접촉 ‘한자음’의 정의와 분류
5. 언어접촉의 영향과 모어의 소실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