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형태소의 식별과 분류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Morphemes
이선웅 ( Yi Seon-ung ) , 오규환 ( Oh Gyu-hwan )
국어학회 2017.03
국어학(國語學) 81권 263-294(32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256009

이 글에서는 형태소 식별(분석) 기준이 연구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관점을 견지하면서, 형태소를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 ‘실질형태소’와 ‘문법형태소’로 분류할 때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검토하였다. 이 글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소는 연구 목적과 연구 대상에 따라 달리 식별될 수 있으며 심리어휘부를 전제하는지 이론어휘부를 전제하는지에 따라서도 달리 식별될 수 있다. 둘째, 한국어의 형태소 분석은 IA 모형을 통하여 단어형으로부터 형태소를 식별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며 단어형으로부터 형태소를 식별할 때에는 ‘결합관계’, ‘계열관계’, ‘음운론적 현현방식’ 등을 위계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공형태(소) 및 영형태소는 국부적으로는 유용한 개념일 수 있고 이론어휘부를 전제하는 연구에서도 필요한 개념일 수 있다. 다만, 심리어휘부와 이론어휘부의 일치를 추구하는 형태론에서라면 성립하기 어려운 개념이다. 넷째, 언어의 화석화와 공형태의 상관관계를 고려하면, 공형태와 화석은 ‘공형태이면서 화석인 것’, ‘공형태이지만 화석이 아닌 것’, ‘화석이지만 공형태가 아닌 것’으로 교차 분류할 수 있다. 다섯째, 의존성은 크게 ‘형태적 의존성’, ‘통사적 의존성’, ‘의미적 의존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러한 의존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려하여 전형적인 의존형태소부터 전형적인 자립형태소에 이르는 척도를 상정할 수 있다. 여섯째, 한국어 형태소의 실질성 위계는 잠정적으로 ‘[실질어휘] > [접두사 > 형식명사/보조용언/의존용언] > [보조사(양태적 의미 표현)/양태어미/일부 접미사 > 보조사(문법적 의미 표현)] > [의미격조사] > [문법격조사 > 접속조사/비양태어미/문법적 접미사]’와 같이 세울 수 있다.

In this paper, we dealt with some problems such as distinction between free morpheme and bound morpheme; and distinction between lexical morpheme and grammatical morpheme. We accounted for these problems as follows. First, principles of morpheme identification are diverse because of purpose, subject, and methodology of studies. Second, the morpheme analysis of Korean is based on IA(Item-and-Arrangement) model. Identifying morpheme from word-form, researchers must consider that paradigmatic relation, syntagmatic relation, and phonological manifestation are important criteria. Third, empty morph(eme) and zero morpheme are useful concept in itself. However,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se concepts do not be used at random. Fourth, empty morph and fossil are cross-classified into ‘empty morph and fossil’, ‘empty morph but not fossil’, ‘fossil but not empty morph’ in the light of correlation of fossilization with empty morphs. Fifth, dependency is classified into morphological dependency, syntactic dependency, and semantic dependency. In accordance with the realization of these dependencies, we can postulate a scale of the dependency of morphemes. Sixth, we also postulated provisionally the lexical hierarchy of Korean morphemes.

1. 머리말
2. 형태소의 식별(분석)
3. 형태소의 분류
4.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