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접속부사어 ‘이때/그때’ 연구
A Study on the Conjunctive Adverbial '이때/그때'
서반석 ( Seo Ban-seoc )
국어학회 2017.03
국어학(國語學) 81권 191-226(36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256029

본고는 접속부사어로 사용되는 ‘이때/그때’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그때’는 ‘이때에/그때에’에서 조사가 생략된 형태인 것으로 흔히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때/그때’의 용법 중 ‘이때에/그때에’의 조사생략형에 해당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고 보고, 전자를 ‘이때/그때1’, 후자를 ‘이때/그때2’라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때/그때1’과 ‘이때/그때2’의 후행문이 각각 배경적 정보, 전경적 정보를 나타낸다고 보았다. ‘이때/그때1’의 경우 후행문에 비완망상이 주로 나타나지만, ‘이때/그때2’는 완망상이 나타난다. 또한 ‘이때/그때1’은 지시하는 시간 간격이 넓은 편이지만, ‘이때/그때2’는 선행문 사건의 한 순간을 좁게 포착한다. 그리고 ‘이때/그때1’의 후행문은 화제-초점의 구조를 가진 정언문이며, ‘이때/그때2’의 후행문은 초점 정보만을 가진 제언문에 해당된다. 결론적으로 ‘이때/그때1’의 후행문이 ‘비완망상, 넓은 시간 간격, 정언문’의 특성을 갖는 것은 배경적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이며, ‘이때/그때2’의 후행문이 ‘완망상, 좁은 시간 간격, 제언문’의 특성을 보이는 것은 전경적 정보를 갖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conjunctive adverbial '이때/그때' in multilateral perspectives. The adverbial '이때/그때' is used to consider as an adverbial '이때에/그때에' and regarded as an elliptic form that omits the adverbial case marker.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이때/그때' vary, thus in this study, they were labeled as '이때/그때1' and '이때/그때2'. In this paper, I argue that '이때/그때1' is related to the background information, and '이때/그때2' is associate with the foreground information. Sentences with '이때/그때1' are generally accompanied with an imperfective aspect; however, sentences with '이때/그때2' accompany a perfective aspect. '이때/그때1' refers to a wide temporal space of the event of the preceding sentence; however, '이때/그때2' refers a temporal spot in the event of the preceding sentence. In addition the sentence following '이때/그때1' is an categorical sentence, which has a 'topic-focus' structure within it. In contrast, the sentence following '이때/그때2' is a thetic sentence, which only has focus information.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이때/그때1', which are 'being accompanied with an imperfective aspect, referring a wide temporal space, and occurring with an categorial sentence', are related to the background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이때/그때2', which are 'being accompanied with an perfective aspect, referring a temporal spot, and occurring with an thetic sentence', are related to the foreground information.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