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경제성장에 따라 에너지 수급 불균형이 두드러지고 자연자원 고갈과 에너지 소비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지역별 에너지 수요와 공급 구조가 불균형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공업용 전기에너지 이용을 대상으로 에너지 이용 효율성을 비교하고 있다. 2006-2016년 30개 지역별 자료를 이용한 Malmquist 지수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에너지 이용 효율성은 3.5% 개선되고 있다. 그리고 효율성 개선의 주요한 요인은 효율의 변화보다는 기술진보에 기인하고 있다. 이는 공업용 전기 에너지의 이용 구조에서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기 보다는 투입과 산출의 관계 변화로 인한 효율성 개선에 기인하고 있다고 보여 진다. 본 연구는 지역별로 클러스터분석을 통해 에너지 이용 효율성이 높은 지역과 중간 지역 그리고 낮은 지역으로 구분해 보았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동북지역이 에너지 이용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연해안 지역은 중간 지역에 속한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이용 효율성이 가장 낮은 지역은 주로 강서성, 하남성, 신장 자치구에 집중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e obvious problem of China’s energy supply and demand, drying up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become the focus of attention. To understanding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gional energy using efficiency level,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ing the energy efficiency. This paper studied the energy utilization efficiency of industrial electricity by using Malmquist index, 30 regions in China between 2006 to 2016. In this period, the industrial electricity and energy utilization efficiency in China increased by 3.5%, the increase of energy utilization efficiency is mainly due to technological changes rather than efficiency changes. Meanwhile, in order to divides the region more effectively, this paper used systematic cluster analysis on the energy use efficiency of 30 regions in China, there were three regions had collected, high-efficiency regions, middle-efficiency regions and low-efficiency regions. At first, the northeast China was found that has the highest efficiency of energy use, which is high-efficiency region. Coastal area is next, which is middle-efficiency regions. Finally, the low efficiency areas are mainly concentrated in Jiangxi province, Henan province and Xinjiang autonomous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