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이상의 편지가 발굴되었다는 소식이 여러 언론을 가득 메웠다. 이 보도 이후 그 편지는 이상의 편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편지는 2001년 이미 이현욱의 편지로 소개되었던 것이다. 동일한 편지가 먼저는 이현욱의 편지로, 나중에는 이상의 편지로 소개된 것이다.
육필 편지가 적힌 편지지는 1940년에 문을 연 ‘梧文出版社’의 원고지이다. 그리고 편지봉투에 1940년 12월 26일자 소인이 찍혀있다. 그러므로 1937년에 죽은 이상이 이 편지를 쓸 수는 없다. 그리고 서명, 필체 및 문체의 측면에서 이상과 거리가 있다. 하지만 그 편지는 이현욱이 최정희에게 보낸 또 다른 육필 편지와 서명, 필체 및 문체의 측면에서 같으며, 1940년 당시 발표된 이현욱의 「편지」, 「일기」, 「결별」등과 문체의 측면에서 차이가 없다. 또한 육필 편지의 내용은 이현욱의 당시 상황과 그대로 일치한다.
궁극적으로 이 육필 편지는 이현욱의 편지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이 편지에서 이현욱은 최정희에 대한 애증관계를 가감 없이 표현하였으며, 자신의 글쓰기가 최정희의 권유로 시작되었다는 점, 그리고 최정희와 결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그대로 전해주고 있다. 이 편지는 이현욱, 곧 지하련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The news about discovering Lee Sang’s letter filled many newspapers in 2014. After this report, the letter has been established as Lee Sang’s letter. However, this letter has already been introduced as Lee Hyeon-uk’s letter in 2001. The same letter has been first introduced as Lee Hyeon-uk’s and later as Lee Sang’s.
The letter paper of handwritten manuscript is the manuscript paper of 'Oh-Mun Publisher' which opened in 1940. And It’s envelope has a postmark dated December 26, 1940. Therefore, no longer can this letter be written by Lee Sang who died in 1937. And it is far from Lee Sang in terms of signatures, handwriting and style. However, this letter is the same as Lee Hyeon-uk's another letter to Choi Jeong-hee in terms of signature, handwriting and style. And it is the same style of Lee Hyeon-uk's works such as “Letter”, “Diary” and “Separation”. Also, the content of the letter is identical to Lee Hyeon-uk’s situation.
Ultimately, it is reasonable to see the letter as Lee Hyeon-uk’s. In this letter, Lee Hyeon-uk expressed love and hate relationship with Choi Jeong-hee. This letter shows the fact that Lee Hyeon-uk began writing due to Choi Jeong-hee’s recommendation and she has no choice but break up just like the novel “Separation”. This letter will be a good material to research Lee Hyeon-uk, that is to say Ji Ha-r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