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6.52.26
18.226.52.26
close menu
KCI 우수
축제참여의 마음챙김이 정서적 연대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in Festival Participation
김정헌 ( Kim Jung-hun ) , 고동완 ( Ko Dong-wan )
관광학연구 43권 7호 49-68(20pages)
DOI 10.17086/JTS.2019.43.7.49.68
UCI I410-ECN-0102-2021-300-00027884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축제는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고 있어 다양한 사람들과 특별한 공간에서 함께하는 것으로 축제연구에서 사람과 장소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즉 축제참여를 통한 상호작용은 사람과의 상호작용과 장소와의 상호작용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사람과의 상호작용으로 정서적 연대가 형성될 수 있고, 장소와의 상호작용으로 장소애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마음챙김, 정서적 연대, 장소애착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로 구조적인 영향관계인지를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하여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의 분석을 실시하여 마음챙김, 정서적 연대, 장소애착은 유기적인 영향관계로 축제에서 마음챙김은 정서적 연대와 장소애착을 형성시키는 선행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즉 축제 참여를 통하여 정서적 연대와 장소애착이 형성되며, 축제 참여자가 축제참여 전 축제에 대한 마음을 챙기는 “정념(正念)의 의식화 과정”은 정서적 연대와 장소애착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축제에 대한 정교하고 다양한 정보제공으로 축제 참여자들이 축제참여에 앞서 축제에 대한 의식화 과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의식화 과정은 결과적으로 축제에서 축제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인 정서적 연대와 축제장소와의 상호작용인 장소애착을 강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Festivals presuppose interaction. Festivals interact with many people in special spaces, so people and places in festival research are very important. Through festival participation, emotional solidarity can be formed through interaction with people, and place interaction can be formed by interaction with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influences of mindfulness,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For the study purpose, literature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indfulness,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proved to be organic influences. In the festival, it was confirmed that mindfulness was an independent variable that formed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In other words,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were formed through participating in festivals, and mindfulness in festivals strengthened emotional solidarity and place attachmen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