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우수
무용수 긍정심리자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anc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이수연(LeeSoo-youn) , 박인자(ParkIn-ja)
UCI I410-ECN-0102-2021-600-000281909

본 연구는 무용수 긍정심리자본(DPPCQ)의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Lee & Kim, 2018)를 통해 전문무용수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정립된 개념을 바탕으로 문항개발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성요인을 토대로 개발된 1차 예비문항 116개를 제작하여 내용타당도, 안면타당도를 확인한 후, 2차 예비문항 52개를 완성하였다. 둘째, 무용수 731명을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하여 예비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는 기술 분석, 문항 분석,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과정을 거쳐 5요인 23문항으로 회복탄력성 5문항, 낙관주의 6문항, 희망 4문항, 예술적역량 5문항, 자기효능감 3문항의 최종척도를 완성하였다. 셋째, 본설문조사를 위해 무용수 344명을 대상으로 무용수긍정심리자본 척도에 대한 타당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은 개념타당도와 예측타당도 그리고 무용수 긍정심리자본의 전공과 수준에 따른 차검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무용수 긍정심리자본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무용수들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평가는 무용수 개인의 발달 및 수행 향상은 물론, 무용 상황에 맞는 심리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scale of DPPC(Danc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this research, first, through the document research and preceding study of Lee & Kim (2018),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established concept of professional Danc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basis of developed component factors, the first 116 preliminary questions were made. After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were confirmed with these questions, 52 secondary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leted. Second, purposive sampling was carried out targeting 731 dancers. Through the skill analysis, item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5 resilience questions, 6 optimism questions, 4 hope questions, 5 artistic competency questions, and 3 self-efficacy questions, in total 5 factors and 23 questions were selected. Finally, validity analysis for this survey about Danc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conducted with 344 dancer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concept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were checked, and danc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cording to their major and level, was verified. The scale of DPPCQ from this study prov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ith this, the evaluation of Danc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n be used for dancer’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s well as developing dance-customized psychological program and educational program.

서론
연구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