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준비도 2.0과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스포츠 웨어러블기기 수용의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는 설문지로 총 3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스포츠용품 구입 경험이 있는 20~50대 이상의 소비자들로 선정하였다. 총 317부의 설문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과 혁신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불편함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불안함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관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혁신성, 불편함, 불안함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acceptance intention of sports wearable device using the technology readiness 2.0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Data were drawn from 317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sports goods.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ptimism and innovative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discomfort had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but insecur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optimis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but innovativeness, discomfort, and insecur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Third, perceived ease of us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Fourt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