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문무용수들의 긍정심리자본 요인을 이해하고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무용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11명의 남녀 전문무용수를 목적적표집(Purposeful Sampling)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Luthans(2007)의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제작된 반구조화 된 면담지를 사용해 심층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 기준을 사용하여 전사 작업, 주제별 범주화, 통합과 축소의 과정을 거쳐 의미가 있는 영역으로 조직화한 후 백분율을 제시하였다.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총314개의 원자료를 수집하였으며, 5개의 일반영역, 23개의 세부영역으로 각각 범주화 되었다. 5개의 일반영역 중 자기효능감(37%)이 가장 높은 반응비율을 보였고, 예술적역량(29%), 낙관주의(14%), 회복탄력성(12%), 희망(8%)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전문무용수의 심리적 강점을 파악하고 무용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 of professional dancers. For this study, 11 male and female professional dancers were selected through the purposive sampling. To learn those danc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 in-depth interview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y Luthans(2007)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as converted into a percentage after analyzed into the meaningful domain. The data went through the processes of transcriptional works, categorization by subjects, integration and reduction by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criteria. Through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314 raw data was collected and was separated into 5 general areas and 23 particular areas. Among the 5 general areas, self-efficacy showed the highest ratio(37%), followed by sense of artistic competencies(29%), optimism(14%), resiliency(12%), hope(8%) in order. To state if briefly,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ong point of professional dancers and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on the spot in dan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