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열정이 정서와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도에 소재한 5개 대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연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열정의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은 정서의 하위요인인 부정정서, 긍정정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화열정은 부정정서와 긍정정서에 부적·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열정의 하위요인인 강박열정과 조화열정은 자기조절의 하위요인 전체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의 하위요인인 부정정서는 자기조절의 하위요인인 정신적 조절, 신체적 조절에 정적·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정서는 자기조절의 하위요인 전체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에 대한 열정이 정서와 자기조절 능력에 의미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 of dance passion on emotion and self-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study participants surveyed 293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five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0. First, obsessive pass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sub-factors of emotion, while harmonious passion had a negative,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negative emotion and positive emotion factors of emotion. Secondly, obsessive passion and harmonious pass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self-regulation. Third, negative emotion had a positive, nega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mental regulation and body regulation, while positive emo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self-regula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d that dance pass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emotion and self-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