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2.87
3.149.232.87
close menu
KCI 등재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유형 연구: 유튜브 영상물을 중심으로
The Patterns of Social Media Literacy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Universities of South Korea: A Content Analysis of the YouTube Videos
조순정 ( Soon-jeong Cho ) , 이동현 ( Dong-hyun Lee )
DOI 10.23875/kca.27.3.2
UCI I410-ECN-0102-2021-300-000297657

본 연구는 유튜브(YouTube)의 영상을 활용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소셜미디어 리터 러시(Social media literacy) 유형 이해를 목적으로 했다. 이에 따라, Rheingold(2009)가 제시한 5대 유형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 관점과 비학습 관점의 소통 능력을 보고자 유튜브 영상물을 내용분석 하였다. 그 결과, 다섯 가지 리터러시 유형 증 ‘건전한 참여’ 및 ‘성숙한 협력’에서 학습에 관련된 의견 교환이, ‘적절한 주의’, ‘연결된 지식’과 ‘비판적 소비’ 유형에서 비학습 관점의 의사 표현과 경험 공유가 활발했다. 외국인 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다양성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면서도 비평적인 이해는 물론 학생과 교수를 상대로 한 협력적인 소통에도 적극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K-팝, 공동체 의식, 한글 학습, 높은 생활비, 대학행사 참여, 국내 학생과의 사회 활동 및 그룹 학습을 통한 협업이 주요 관심사로 파악됐다. 한편, 다수의 정규 과정 유학생은 한국어로 의사를 표한 반면, 대부분의 교환 학생과 일부 언어 연수생은 자국어를 소통의 도구로 삼았다. 동 연구는 기존 리터러시와 구별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의 5대 유형을 유튜브 영상물 분석을 통해 실증한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교내외 소통 역량과 사회적 참여 능력을 한층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관 연구의 확대는 물론, 더욱 내실 있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업 지도와 생활 상담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ocial media literacy pattern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analyzing the secondary data available on YouTube. In line with the Rheingold(2009)’s five patterns of social media literacy, in total, 48 video clips were analyzed by the thematic content analysis in a qualitative manner. This work unearthed that ‘appropriate attention’ and ‘network awareness’ were two dominant literacies over ten themes within the Korean contexts identified as culture; learning; food; language; daily lives; employment; campus; society; family and environment, while ‘sound participation’, ‘matured collaboration’ and ‘critical consumption’ outnumbered in the themes of culture, learning, and campus. Overall, the Korean pop music, a sense of communal spirit, Korean language learning, the cost of living, participation into university festivals, social activities with domestic students, and collaboration in group assignments were the intensively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good at critic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actively embracing cultural diversity in Korean society. Besides, a number of the regular curriculum students effectively expressed their various thoughts in the Korean context, whereas almost all exchange students and some language course students were their English/native language speakers. Lastly,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most students were skilled in demonstrating a good command of communication over social media, by sharing their unique local experiences exchanging knowledge-based information;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literacy-related research.

1. 연구 배경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