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계룡산 신도안 종교촌의 내부구조 및 경관 연구
A Study on Internal Structure and Landscape of Sindoan Religious Village in Kyeryong Mountain
최원회 ( Wonhoe Choi ) , 성정락 ( Jeongrak Seong )
한국지리학회지 8권 2호 261-287(27pages)
DOI 10.25202/JAKG.8.2.11
UCI I410-ECN-0102-2019-900-001739728

계룡산 신도안 종교촌은 종교적·역사적·장소적 특성을 현저하게 가졌었고, 다종교촌이었으므로 한국의 종교촌에서 존재의의가 특이했고 컸다. 현재, 신도안 종교촌은 소멸되어버린 상황이고, 선행연구 자료가 많지 않은 가운데 주요 연구결과의 상이성이 큰 점을 감안하면, 신도안 종교촌에 관한 종합적 연구가 시급하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신도안 종교촌의 변천, 종교구성, 내부구조, 경관 등에 관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신도안 종교촌의 내부구조 및 경관을 1910~1980년대의 지도를 비롯한 여러 그림 자료를 통해서 원형 복원의 차원에서 파악했다. 신도안 종교촌의 내부구조를 조사한 결과, 지형, 행정지명, 마을, 기반시설, 일반기능체, 종교, 토지이용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특성이 파악되었다. 신도안 종교촌의 경관은 일반경관과 종교경관으로 구분해서 파악되었다. 일반경관에서는 신도안 종교촌이 입지해 있었던 일반촌락의 자연지리적 및 인문지리적 기반과 풍수지리적 및 풍수도참적 기반이 잘 드러나고 있다. 종교경관에서 드러나는 특성은 시천교, 시천교 이외 종교 및 무속 간의 종교적 정통성·권위성의 차이, 신흥종교 및 무속의 계룡산 신도안 풍수지리 및 풍수도참 특성의 적극적 수용, 신흥종교 및 무속의 고유성 유지 및 공존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internal structure and landscap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in Kyeryong mountain at the level of the restoration of its original form through a number of pictorial materials, including maps from the 1910 ~ 1980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various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topography, administrative name, village, infrastructure, general functional establishment, religion and land use. The landscap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was identified in terms of the general and religious landscape. In the general landscap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the foundation of physical and humanistic geography and the foundation of the feng shui and feng shui docham in the village are well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religious landscap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can be summed up by differences in religious orthodoxy and authority between Sichonism, religions outside of Sichonism and shamanism, active acceptance of the feng shui and feng shui docham characteristics in Gyeryong mountain of the new religion and shamanism, the preservation of uniqueness of the new religion and shamanism and the coexistence of the two.

I. 서론
II. 신도안 종교촌의 내부구조
III. 신도안 종교촌의 경관
IV. 요약,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