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0
216.73.216.130
close menu
낭만주의 시대 영국적 빌둥(English Bildung)으로서 『차일드 해롤드의 순례』(Childe Harold’s Pilgrimage)
Childe Harold’s Pilgrimage as an English Bildung in the Romantic Period
정혜경 ( Hyekyung Jung )
UCI I410-ECN-0101-2019-000-001004910

본고에서는 바이런(George Gordon Byron)의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Childe Harold’s Pilgrimage)가 해럴드와 시인 바이런의 내적 성장을 다룬 낭만주의 시대 영국적 빌둥(Bildung)임을 고찰하고자 한다. 프랑스 혁명 이후 일련의 정치적 사건들과 나폴레옹 전쟁은 당시 유럽 지식인들에게 프랑스 혁명의 실패로 간주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당대 지식인들은 미래에 대한 어떠한 낙관적 전망을 상실했고 우울과 절망에 빠졌으며, 이러한 우울과 절망이 당대 유럽 사회 내에서 하나의 시대정신이 되었다. 바이런은 이러한 시대정신을 포착하고 작품의 주인공인 해럴드와 같은 바이런적 주인공(Byronic Hero)들을 창조하여 이들을 통해 당대 시대정신을 그의 시작품 속에서 제시했다. 차일드해럴드의 순례는 바이런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그의 자서전적인 요소를 함의하고 있으며, 로맨스 형식과 주제를 지닌 작품이라는 점에서 시적 인물과 바이런의 성장을 함께 서술하는 작품이라고 읽어낼 수 있는 여지를 지니고 있다. 특히 개인의 성장이라는 이 작품의 주제는 동시대 독일 낭만주의 빌둥스로만(Bildungsroman)의 주제와 유사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빌둥의 갈래로 읽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함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프랑스 혁명 이후의 시대정신을 투영하는 인물인 해럴드의 우울을 당대 시대적 트라우마로 읽어내고, 해럴드의 순례를 통해 이를 서술하는 화자가 낭만적 자아로 성장하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두 차례에 걸친 해럴드의 순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혁명의 실패와 제국주의, 그리고 나폴레옹 전쟁의 초상을 확인하고 자기소외를 경험했던 해럴드가 화자와 통합되고 해럴드의 순례는 화자의 정신적 여정으로 변화되며, 이를 통해 화자가 내적 성장을 이뤄내는 과정을 탐구하고자 한다.

This paper recounts that George Gordon Byron’s Childe Harold Pilgrimage is an English Bildung in the Romantic period, which deals with inner developments of Harold and Byron, the poet. Witnessing the consecutive political incidents after the French Revolution and during the Napoleonic Wars, the contemporary European intellectuals regarded that the revolution failed. Under these political circumstances, they lost bright visions on their societies and began to fall into melancholy and became depressed; and these melancholic and depressed moods became dominant and prevalent throughout this period. Grasping this spirit of his era and creating Byronic Heroes, his poetic figures, Byron presented the facets of this melancholic mood throughout his poetry. Childe Harold’s Pilgrimage can be read as a literary work about the developments of the poetic figure and Byron: it contains Byron’s autobiographical elements as his other literary works do and it is written in Spencerian stanza and with a quest-theme. Particularly, its thematic topic,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Bildung and German bildungsroman in Romantic period, and thus, Byron’s work can be understood and categorized as a Bildung. Therefore, this paper reads Harold is a poetic figure onto whom the spirit of the post-Revolutionary and Napoleonic eras is projected, and his melancholy as the trauma of this period. In this paper, Harold’s two pilgrimages are analyzed to explore how Harold, who witnesses the depressed situations of the post-Revolution and Napoleonic Wars and becomes self-alienated, becomes integrated with the narrator; Harold’s pilgrimage becomes the narrator’s spiritual journey for his inner development as a romantic self.

1 시대정신으로서 우울
2 우울증 환자로서의 해럴드
3 낭만적 존재로서의 “화자”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