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뮤지컬 <카바레> 안의 카바레적 요소와 의미
The Elements of Cabaret in the Structure of Musical < Cabaret >
한재은 ( Han Jae-eun )
UCI I410-ECN-0102-2019-800-001769845

1966년 발표된 뮤지컬 <카바레>는 뮤지컬에 1930년대 초반의 독일 카바레를 담고 있는 독특한 작품으로 지금까지 활발히 공연되고 있다. 1차 대전 이후 독일에서 카바레는 가장 오락적이면서도 정치적인 장소였다. 카바레의 공연에서 가능성을 발견한 사람은 브레히트로, 그는 서사극 이론의 하나로 각각의 요소들이 분리된 구조를 주장하였다. 이는 카바레의 여러 특징들과도 연결되는 것이었다. 뮤지컬 <카바레>는 기본적으로 뮤지컬의 법칙들을 따르고 플롯은 선형적으로 전개되지만 여기에 카바레의 공연들이 서사극적 기법을 통해 끼어들며 1930년대 독일 카바레의 모습들을 보여준다. 주인공인 샐리는 카바레의 가수이며 무대 위와 아래의 삶을 모두 보여주는데 이 특징이 카바레의 공연들이 끼어드는 이중적 구조를 형성한다. 그녀가 카바레에서 부르는 노래는 자신의 상태를 말하면서도 자신의 삶에 대한 논평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장면들의 연속을 통해 <카바레>는 인물들의 노래가 나치즘의 대두에 대한 논평이 될 수 있게 한다. 이 구조는 무대 위의 공연이 무대 아래의 현실에 대한 거울이 되게 하고, 결과적으로 무대를 바라보고 있는 관객 역시도 이 공연을 통해 자신의 현실을 비추어 보도록 유도한다. <카바레>는 뮤지컬 양식을 바탕으로 카바레의 요소들을 흥미롭게 무대에서 보여주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카바레의 기능도 가져온다. 대중 가까이에서 사회적인 비판을 가하던 카바레의 사회적 기능을 현대의 오락적인 음악극인 뮤지컬을 통해 실현하는 것이다. 브레히트가 보았던 카바레의 비판적 가능성을 다시 현대의 음악극에서 펼치고 있다는 점에서 <카바레>는 무엇보다 카바레적이라 하겠다.

Originally performed in 1966, the musical “Cabaret” is unique in style as it combines German cabaret from the early 1930’s and traditional musical theatre. Since World War I, German cabarets were deemed spaces that were both entertaining and political. Brecht, affected by German cabaret, developed the concept “Epic Theatre” in which elements such as text and song were separated, as in cabaret performances. The plot structure of “Cabaret” is linear but is often interrupted by cabaret performances that use the epic style. The main character Sally, a singer in a shabby cabaret, has two lives: one in the book under the cabaret stage, the other in the songs on the cabaret stage. This doubleness allows her to comment on her other self. The structure of “Cabaret” allows the characters to provide commentary in their songs on the rise of Nazism. The performance on stage mirrors the reality below the stage and, consequently, the audience watching from under the stage is encouraged to reflect upon their reality. “Cabaret” incorporates cabaret performances into the integrated musical style using Brechtian techniques. In doing so, it brings back not only the features of the cabaret to contemporary theatre, but also the potential power of musical theatre to depict social criticism, which Brecht saw in German cabaret.

Ⅰ. 들어가며
Ⅱ. 독일에서의 카바레와 브레히트
Ⅲ. 뮤지컬 <카바레>에서의 카바레 적용
Ⅳ. 나오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