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향후 대한민국의 스포츠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체육전공 대학생들이 무형의 측면에서 올림픽 레거시를 어떻게 이해하며, 어떠한 개념을 갖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체육전공 대학생들이 올림픽 레거시에 대해 어떠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둘째, 우리나라에서 개최한 올림픽 레거시에 대해 어떠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지를 구명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체육전공 대학생 348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자유연상단어 기법을 활용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체육전공 대학생들이 하계ㆍ동계 올림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또한 한국에서 개최된 서울ㆍ평창 올림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Charmaz(2014)가 제시한 3단계 코딩 절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전공 대학생들은 하계올림픽 레거시에 대해 스포츠 레거시(64.4%), 환경 레거시(15.2%), 사회 레거시(8.5%), 도시 레거시(5.5%)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목(53.4%), 개최시기 및 날씨(15.2%), 인물(5.8%), 대회명 및 지명(5.5%), 성과(5.2%), 상징(4.5%), 가치(3.3%), 이슈(0.7%)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전공 대학생들은 동계올림픽 레거시에 대해 스포츠 레거시(66.8%), 환경 레거시(14.2%), 도시 레거시(10.8%), 사회 레거시(4.6%)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목(52.1%), 개최시기 및 날씨(14.2%), 인물(12.3%), 대회명 및 지명(10.8%), 상징(2.8%), 성과(2.4%), 가치(0.9%) 이슈(0.9%)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전공 대학생들은 서울올림픽 레거시에 대해 사회 레거시(55.9%), 환경 레거시(16.5%), 도시 레거시(10.2%), 스포츠 레거시(7.1%)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징(46.3%), 개최시기 및 날씨(16.5%), 대회명 및 지명(10.2%), 가치(7.2%), 종목(4.1%), 이슈(2.4%), 인물(2.2%), 성과(0.8%)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전공 대학생들은 평창올림픽 레거시에 대해 스포츠 레거시(44.6%), 사회 레거시(31.6%), 도시 레거시(10.6%), 환경 레거시(4.4%)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목(24.7%), 인물(18.8%), 상징(15.9%), 이슈(13.4%), 대회명 및 지명(10.6%), 개최시기 및 날씨(4.4%), 가치(2.3%), 성과(1.1%)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students who majoring in sports, understand Olympic legacy and what concepts they hav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sports were selected and the final analysis awad was 348. We use a free association technique to collect data for how students who majoring in sports to understand summer, winter olympics, and Seoul, PyeongChang olympics, categorized into semantic uits and subject un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tudents who majoring in sports recognized the legacy of the Summer Olympics as sports legacy (64.4%), environmental legacy (15.2%), social legacy (8.5%), urban legacy (5.5%), and for the detail, sports (53.4%), time of hosting and weather (15.2%), people (5.8%), hosting place and area name (5.5%), achievements (5.2%), symbols (4.5%), values (3.3%) and issues (0.7%). Second, students who majoring in sports recognized the legacy of the Winter Olympics as sports legacy (66.8%), environmental legacy (14.2%), urban legacy (10.8%), social legacy (4.6%), and for the detail, sports (52.1%), time of hosting and weather (14.2%), people (12.3%), hosting place and area name (10.8%), symbols (2.8%), achievements (2.4%), values (0.9%) and issues (0.9%). Third, students who majoring in sports recognized the legacy of the Seoul Olympics as social legacy (55.9%), environmental legacy (16.5%), urban legacy (10.2%), sports legacy (7.1%), and for the detail, symbols (46.3%), time of hosting and weather (16.5%), hosting place and area name (10.2%), values (7.2%), sports (4.1%), issues (2.4%), people (2.2%) and achievements (0.8%). Fourth, students who majoring in sports recognized the legacy of the PyeongChang Olympics as sports legacy (44.6%), social legacy (31.6%), urban legacy (10.6%), environmental legacy (4.4%), and for the detail, sports (24.7%), people (18.8%) symbols (15.9%), issues (13.4%), hosting place and area name (10.6%), time of hosting and weather (4.4%), values (2.3%) and achievements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