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 설계를 PCK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서 교육 실습에 참여한 3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과학교육에서의 비유에 대한 워크숍을 실시한 후 교육 실습에서 비유 사용 수업을 실행하도록 하였다. 교육 실습에 참관하며 예비교사들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예비교사들이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비중 있게 다루는 비유에서만 대응 관계와 비공유 속성을 다루었고, 이 과정이 교사중심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벗어나는 개념을 포함한 비유를 수업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비교사들은 비공유 속성이 학생들의 오개념과 관련이 크다고 생각하였으나 비공유 속성을 다룰 때는 학생들의 의견에 폐쇄적인 모습을 보였다. 비유를 활용한 평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는 높지 않았고, 물리적 비유나 역할놀이 비유와 같은 학생 중심의 비유를 사용할 때 평가가 상대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과학교사 교육과정과 관련된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sign for lessons using analogies in the perspectives of PCK. Thre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the workshop of instructional analogies in science education, they practiced lessons using analogies in teaching practices. We observed their lessons and collected all of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 that they dealt with mapping and unshared attribute only when using main analogies in their lessons and these processes were teacher-centered. There were some cases where they failed to adequately deal with analogies including concepts beyond the curriculum. When dealing with unshared attributes, they did not tend to accept students’ opinions although they thought that unshared attributes are strongly related to misconceptions. Their understanding of assessment using analogies was not high. Assessment was relatively well done when they use student-centered analogies such as physical analogies or role-playing analogies. On the bases of the results, we suggest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