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수전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전해질막 연구 개발 동향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 of Electrolyte Membrane Applicable to Water Electrolysis System
임광섭 ( Kwang Seop Im ) , 손태양 ( Tae Yang Son ) , 김기현 ( Kihyun Kim ) , 김정 ( Jeong F. Kim ) , 남상용 ( Sang Yong Nam )
공업화학 30권 4호 389-398(10pages)
UCI I410-ECN-0102-2019-500-001464031

수소에너지는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기후변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일 뿐 아니라 산업용 전력 생산, 자동차용 연료 등을 위한 대체가능한 에너지로 인식되고 있다. 수소제조 방법 중 물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수소를 물로부터 직접 제조하는 방법은 화석연료 이용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지구환경 오염물질인 메탄, 이산화탄소 등의 배출이 없다. 본 총설은 수소제조 방법 중 하나인 물 전기분해의 종류인 알칼리 수전해(alkaline water electrolysis, AWE),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PEMWE)에 대해서 분석하고 최근 연구 중인 탄화수소 전해질막의 동향 및 전해질막의 문제점인 크로스오버현상에 대해 설명하였다.

Hydrogen energy is not only a solution to climate chang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fossil fuels, but also as an alternative source for the industrial power generation and automotive fuel. Among hydrogen production methods, electrolysis of water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efficient and practical methods. Compared to that of the fossil fuel production method, the method of producing hydrogen directly from water has no emission of methane and carbon dioxide, which are regarded as global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is paper, the alkaline water electrolysis (AWE)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PEMWE), which are one of the hydrogen production methods, were discussed. Recent research trends of hydrocarbon electrolyte membranes and the crossover phenomenon of electrolyte membranes were also described.

1. 서 론
2. 수전해 시스템의 종류
3. 고분자전해질막
4. 연구동향
5. 맺음말
감 사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