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22.20
3.144.122.20
close menu
KCI 등재
식민주의와 시장경제, 그리고 사회적 탈구
Colonialism, Market Economy, and Social Dislocation
강진연 ( Kang Jin-yeon )
DOI 10.37743/SAH.122.4
UCI I410-ECN-0102-2019-300-001432375

식민지배는 다양한 영역에서 전근대와 근대의 혼종성을 수반한다. 정치적 영역에서 식민국가는 전제적 권력과 하부구조적 권력이 혼재된 방식으로 지배하며 식민지민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긴장관계를 갖는다. 경제적 영역에서 전통적 농업경제의 원리는 제국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도입된 시장경제 원리와 공존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식민지 사회의 제도적 영역에서 등장하는 혼종적 성격의 중요성은 식민지민들 사이의 관계 변화를 거쳐 결과적으로 식민지 사회의 재구성으로 이어진다는 데 있다. 이 글에서는 일제의 식민지배를 통해 나타난 혼종적 변화가 조선에서 가져온 사회적 결과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식민지배 조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탈구의 내용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전통적 지역 사회를 중심으로 작동했던 사회적 원리와 구성원들 사이에서 인정 되었던 관습적 내용의 권리가 식민 조건을 매개로 제도적 변화를 거치며 보호받지 못하게 되었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권리가 식민지배의 제도적 영역에서 구성되지 못하면서 소작쟁의와 노동쟁의 등의 사회운동의 형태로 표출됨에 따라 조선인들 사이의 내적 경계가 새롭게 구획되고 재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일제시기 조선인들의 집합적 권리의 요구가 결과적으로 식민 사회 내부의 갈등과 반목을 초래하면서 성원권의 분절로 이어지는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식민지배를 매개로 시장경제의 원리가 도입되면서 나타난 사회적 탈구의 한 단면을 조명한다.

Colonial rule paves the way for hybridity of modernity and pre-modernity. In a political domain, colonial states tend to dominate indigenous societies by wielding both despotic power and infra-structural control, while maintaining fundamental differences and tensions that separate them from those whom they colonize. In an economic sphere, colonial power directs special attention to maximizing the demands and interests of the empire, thus reformulating an institutional setting, which in turn leads to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and market economic principles within the colonized society. Of particular importance is that this hybridity or heterogeneity in the colony plays a pivotal role in transforming relationships among the indigenous people and reconstructing the colonized community itself. Focusing o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is article examines institutional changes conducted by Japanese colonial power and the reconstruc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membership right among Koreans. To this end, the article explores social dislocation in Korea as an aspect of the social consequences of Japanese colonialism. In particular, it exposes ways in which the colonial institutional rearrangements of the 1910s, such as land cadastral survey and land tax reform, led to the disintegration of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and social principles, thus invalidating traditionally acknowledged and protected customary rights of peasants. Colonial Korea began to see the rise of a new social group of semi-peasant and semi-worker who were subjected to colonial despotism in their working conditions. These oppressive conditions led to tenant disputes and workers disputes aimed at securing their subsistence rights. These series of changes eventually shaped internal boundaries among the indigenous community. Through this historical analysis, the article elucidates social dislocations, which impacted the indigenous communi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1. 머리말
2. 식민주의와 사회적 분절
3. 식민 정책과 계층 구도의 변화
4. 전근대적 계급관계와 노동조건을 통한 사회적 관계 변화
5. 사회운동과 성원권의 재구성
6.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