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ssinosteroids (BRs)는 식물체 내에 존재하는 스트레스 완화성 호르몬으로, 고온 및 저온 스트레스, 가뭄, 염 동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식물 내에서 개화, 세포주기, 질소 대사, 스트레스 저항성에 관하여 신호전달을 하며, 이 호르몬의 신호전달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BR 수용체인 BR Intesitive 1 (BRI1)에 의해 진행된다. 글루코시놀레이트 (glucosinolate, GSL)는 질소와 황을 포함하는 배추과 채소 내 이차 대사산물로 myrosinase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로 isothiocyantate, thiocyanate 및 nitrile로 분해되어 활성을 나타내며, 간암, 위암 등에 항암 효과가 있고, 식물에서는 항균, 살충작용과 같은 생체방어 반응에 관여한다. GSL의 생합성이 BRs 호르몬의 작용 기작에 의해 조절된다는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케일 새싹채소에 BR 호르몬을 처리하여 GSL 함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케일 품종은 ‘티비에스’, ‘만추콜라드’ 두 품종을 사용하였고, 식물생장기 (온도 25°C; 습도 70%)에서 7일간 재배하였다. 각 케일 새싹채소 실험구에 BR 호르몬 한 종류인 Brassinolide를 1μM씩 무처리, 30분, 90분, 4시간, 12시간 처리한 후, 액체질소로 동결 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케일 새싹채소에서 총 10종류의 GSL 성분이 검출되었고, 그 중 9가지 성분 (Glucoiberin, Progoitrin, Sinigrin, Gluconapin, 4-Hydroxyglucobrassicin, Glucobrassicanapin, 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Neoglubrassicin)을 동정하였다. GSL 총 함량은 ‘티비에스’ 품종이 ‘만추콜라드’ 보다 높았으며, 항암 기능성 성분인 sinigrin 역시 ‘티비에스’ 품종에서 높았다. ‘티비에스’ 품종의 경우 BR 호르몬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sinigrin 및 GSL 총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만추콜라드’의 경우 무처리에 비해 BR 처리구에서 함량이 감소하였고, 증감에 경향성이 없었다. 향후, GSL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MYB 유전자의 발현량을 검정하여, GSL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BR 호르몬이 GSL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