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후보
가상구매활동 시뮬레이션을 통한 VMD 전략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VMD Strategy Directions through Virtual Purchasing Activity Simulation
황인희 ( Hwang In-hui ) , 박경진 ( Park Kyung-jin )
UCI I410-ECN-0102-2019-600-001675224

대형할인점, 백화점, 체인화 된 유통업체, 그리고 홈쇼핑, 온라인매장 등 대기업들은 대단위 자본을 투자하여 VMD를접목한 공격적인 전략을 통해 고액 매출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중소 브랜드들은 대기업에 비해 뚜렷한 가이드라인 및 인식이 부족하여 VMD 전략의 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중소브랜드들의 실정을 고려한 VMD 역량 강화의 가능성에 기여하고자 중소 브랜드에 적합한 VMD 전략구성요소를 고찰하고, 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가상구매활동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중소브랜드 현실에 부합하는 장소 및 대표 상품군에 대한 종합적인 기본 전략을 제시하고, 각 브랜드가 응용할 수 있는 VMD 차별화 전략을 위하여 연출의 목적, 디스플레이 유형, 소비자 유형에 따른 전략을 세분화 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중소 브랜드들이 쉽게 이해 가능한 VMD기본 전략을 제시함으로써VMD에대한 인식개선과 앞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열어보고자 하였다.

Sales of a large amount seem to be hardened into fixed trends, while dominating retail business with aggressive strategy that combines VMD based on large-scale capital, focusing on large discount stores, department stores, chain distributors, home shopping and online stores. However, small and medium-sized brands has not yet utilized VMD strategies smoothly due to the lack of clear guidelines in comparison with large businesses. In this study, components for enhanced VMD strategies suitable for small and medium-sized brands were investigated to 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small and medium-sized brands and strengthen VMD capacity, and a virtual purchasing activity simulation was performed to establish effective alternative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data in small and medium-sized brands the appropriate places and represent basic strategies for product lines is presented.And in the future brands VMD differentiation strategy that can be applied to the purpose of directing, display types, according to the type of customer segmentation strategies are tried.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attempted to improve the awareness on the VMD and open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in the future.

1. 서론
2. 중소브랜드 VMD구성요소정리
3. 중소브랜드 VMD전략의 대표환경 설계
4. 가상구매활동 시뮬레이션 조사 설계
5. 가상구매활동 시뮬레이션 실험결과도출
6. 결론
6.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