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뎁스카메라를 활용한 발바닥 스캐너 디자인 개발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Depth Camera based Foot Scanner Design
고영균 ( Youngkyun Koh )
DOI 10.37254/ids.2019.06.48.12.129
UCI I410-ECN-0102-2019-600-001674585

최근 4차 산업혁명은 신발 관련 인솔(insole)산업에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과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스마트 인솔 출현과 맞춤형 인솔 대중화를 견인하고 있다. 개인의 발 특성을 구조적으로 개선해 안정된 보행을 돕고 피로 감소 및 관절 손상을 예방할 수 있어 개인 운동능력 향상과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는 맞춤형 인솔의 제작을 위해 과거에는 직접 발 형태를 석고형틀로 성형하는 수작업에 의존 하였으나 불편함과 더불어 긴 제작 기간과 높은 비용으로 현재는 정밀하고 편리한 3D 스캐닝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뎁스카메라와 압력센서를 활용한 신개념 3D 발바닥 스캐너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로서 이론적 고찰과 제품개발 과정을 기술하였다. 본 개발제품에 적용된 기술은 정적 특성에 국한된 기존 3D 발 스캐너의 단점을 극복하고 정적, 동적 특성을 동시에 수집할 수 있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큰 장점을 갖는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4차 산업혁명과 신발산업을 이해하고 맞춤형 인솔산업에서 3D 발 스캐너의 필요성과 미래를 고찰하였다. 둘째, 제품개발 과정에서는 국내외 3D 발 스캐너 제품의 디자인 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전문가들과 시제품 분석을 통해 디자인 과제를 도출하였다. 셋째, Role play 기법을 활용한 아이디어 워크숍을 통해 디자인 기회 요소를 검토하여 아이디어 캔버스를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방향과 CMF 컨셉을 구체화하고 디자인 시각화 과정과 워킹 모델 검증을 통하여 최종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발제품의 진보성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보행 패턴까지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통해 고가의 측정 장비를 대체하고 3D 프린터를 활용한 효율적인 맞춤형 인솔 제작 시스템 개발을 기대한다.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ot insole industry greatly changes. The high interest in health and the entrance into the ageing society leads to the emergence of smart insole and customized insole popularization. By structurally improving individuals’ foot characteristics, it is able to help out stable walk, reduce fatigue and prevent joint damage. To make a customized insole for improving motion ability and health, the manual work of molding a plaster foot shape was used. This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innovative 3D food scanner using a depth camera and pressure sensor, and theoretical analysis and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re described. In terms of study method, firstly, theore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ootwear industry and to find the necessity and future of the 3D foot scanner in the customized insole industry. Secondly, in terms of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 domestic and foreign trends of 3D foot scanner designs and market products were analyzed with relevant experts to draw design tasks. Thirdly, design opportunity factors were reviewed and idea canvases were made through the role play based idea workshop. Lastly, a design direction and CMF concept were defined in detail, and a final design was suggested through visualization and walking model verification. By developing the system able to measure a walking pattern, it is expected to replace highly priced measurement equipment and develop the efficiently customized insole making system using a 3D printer.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3D 발바닥 스캐너 디자인 전개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