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6.29
3.144.6.29
close menu
KCI 등재
민사소액사건에 있어서 이행권고결정제도에 관한 소고 - 사법보좌관의 업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ystem of Decision on Performance Recommendation in Civil Small Claims Cases - With a Focus on the Duties of Judicial Assistant Officials -
김성태 ( Sung-tae Kim )
법학논집 23권 4호 1-24(24pages)
DOI 10.32632/ELJ.2019.23.4.1
UCI I410-ECN-0102-2019-300-001169982

민사소액사건의 범위가 2017년 1월부터 3,000만원으로 확대됨에 따라 2017년도 10건의 민사본안사건 중에서 약 7.6건이 민사소액사건으로 민사소송법의 특칙으로 소액사건심판법의 적용을 받아 소송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민사소액사건에 적용되는 소액사건심판법에는 특히 전체 16개조로 구성된 소액사건심판법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조문을 차지하고 있는 이행권고결정제도(제5조의 3~제5조의8)는 소액사건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급명령과 화해권고 결정제도의 개념을 함께 반영하여 소액사건심판법에 도입된 제도인데, 법원조직법 제54조의 개정으로 그동안 법관이 담당했던 소액사건심판법 제5조의3의 이행권고결정을 2016. 7. 1부터 사법보좌관이 담당할 수 있는 직무로 개정되어 지금은 법관 또는 사법보좌관이 이행권고결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다. 그런데 2005. 7. 1. 사법보좌관제도가 도입당시의 사법보좌관이 담당할 수 있는 사건은 비교적 난이도가 높지 않고 사회적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지 아니하며 비송성을 내포하고 사건만을 담당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였는데, 지금은 제1심 민사본안사건 중 약 76%에 해당하는 민사소액사건에 대한 이행권고결정의 판단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이행권고결정 제도가 시행된 지 벌써 약 20년을 앞두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운영현황을 가지고 판단할 때에는 소액사건 중에서 이행권고결정으로 처리할 수 있는 사건의 수가 예상보다 많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소액사건 처리기간 또한 기대한 만큼 신속하게 처리되고 있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민사소액사건에 대한 이행권고결정을 할 수 있는 사법보좌관의 업무확대는 이행권고결정제도가 지급명령제도와 유사하다는 이유만으로 인정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래 사법보좌관제도의 취지를 생각하면 비록 소액이라고 하더라도 쟁송적 성격이 강한 민사소송사건을 사법보좌관이 담당한 것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사법보좌관의 업무를 중심으로 이행권고결정제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With the expansion of civil small claims cases in scope to 30,000,000 won in January, 2017, approximately 7.6 of 10 civil cases on merits were under the application of Trial of Small Claims Act as special provisions of Civil Proceedings Act in their litigation procedures in 2017. In Trial of Small Claims Act, which is applied to civil small claims cases and consists of total 16 articles, the decision on performance recommendation system(Clause 3~8 of Article 5) has the biggest number of provisions. The system was introduced into the Trial of Small Claims Act by reflecting the concepts of both payment orders and decision on reconciliation recommendation to handle small claims cases fast. After the revision of Article 54, Court Organization Act, decision on performance recommendation in Clause 3, Article 5 of Trial of Small Claims Act, which used to be part of a judge’s duties, was included in the duties of judicial assistant officials on July 1, 2016. Today, a judge or judicial assistant official makes a decision on performance recommendation. When the judicial assistant officials system was introduced on July 1, 2005, the concerned provisions stipulated that they would handle only non-contentious cases that were not relatively high in the difficulty level and far from social controversy. These days, they make a decision on performance recommendation in civil small claims case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76% of civil cases on merits at courts of first instance. It will be about 20 years since the system of decision on performance recommendation came into effect. Based on the current management of the system, the number of small claims cases that can be resolved with a decision on performance recommendation is small than expected. In addition, small claims cases are not treated as fast as expected, either. The expansion of duties should not, however, be recognized among judicial assistant officials that are allowed to make a decision on performance recommendation in civil small claims cases only for the reason that the system of decision on performance recommendation is similar to the payment order system. Given the original purport of the judicial assistant official system, there should be problematic consciousness with them handling highly contentious civil cases even though the concerned amounts are small. Based on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this study reviewed again the system of decision on performance recommendation with a focus on the duties of judicial assistant officials.

Ⅰ. 서 론
Ⅱ. 이행권고결정제도의 현황
Ⅲ. 사법보좌관의 업무로서 이행권고결정제도의 검토
Ⅳ. 결 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