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19.247
3.133.119.247
close menu
적립금 운용펀드 수익률과 퇴직연금사업자와 자산운용사의 관계성 연구
An Empirical Study for Relationship between Operating-Fund Buyers(pension provider) and Sellers(asset management company)
성주호 ( Joo-ho Sung ) , 김성일 ( Sung Il Kim ) , 박준범 ( Jun-bum Park )
연금연구 9권 1호 1-16(16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56998

A rate of fund return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retirement pension market. Such a return is highly associated with the management ability of asset management companies(i.e. operating-fund sellers). In Korean retirement pension market, retirement pension providers are only eligible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ng funds. Here, we set the relationship between pension provider and asset management company as the operating-fund buyer and seller. Through empirical ANOVA testing, we drive out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ly, the performance of operating funds provided to 4 and more buyers is overall higher. Secondly, “buyer-seller relationshi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10-year returns. It also examines whether the rate of fund return is different from affiliated firms and non-affiliated firms. As a good signal to Korean retirement pension market, so-called affiliation bias is not verified empirically. And also, this approach would be easily extended to trust-based retirement pension plans.

퇴직연금시장에서 투지수익률 관리는 핵심적인 이슈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적립금 운용펀드의 수익률 결정은 적립금 운용펀드 제공기관인 자산운용사의 운용능력에 의해 상당부분 결정된다. 그러나 현행 계약형 구조에서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펀드에 대한 통제권은 퇴직연금사업자에게 귀속되어 있다. 즉, 퇴직연금사업자는 적립금 운용펀드의 구매자가 되고 자산운용사는 판매자가 되어 구매자-판매자 관계가 성립하는 전형적인 유통경로관계이다. 우리는 10년 이상 운용된 185개의 과거 펀드 수익률을 중심으로 이러한 관계속성의 차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서 첫째, 4개 이상의 사업장에게 제공된 펀드의 수익률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중ㆍ단기 수익률은 구매자-판매자 관계속성의 차별성이 검증되지 않는 반면에 10년 이상 장기 수익률에 대해서만 관계속성의 차별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구매자-판매자 간의 계열성 여부(이를 계열성편의(affiliation bias)라 함)에 의한 수익률 차별성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의 계약형 구조에서 연구되었지만, 기금형이 도입되면 구매자를 기금운영위원회로 설정하여 연구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신뢰성 있는 패널자료가 집적되면 한층 더 심도 있는 관계속성분석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