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수련의 궁극적 목표는 자신의 내면 깊은 곳에 내재 되어 있는 Atman에 도달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고, 이를 위하여 신체를 단련하며, 정신과 육체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요가는 고대 힌두교의 6대 철학 중 하나이며, 요가수트라는 요가에 관한 가장 오래된 경전이다. 요가수트라는 파탄잘리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아쉬탕가로 알려진 8가지의 가지로 구성되어있다. 아쉬탕가의 한 부류인 아사나는 자연에 기초한 동작들로 구성되며 모든 동작에 호흡과 명상이 깃들어있다. 체육계에서는 요가수행을 통해 스포츠 일탈에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체육에서의 연구는 주로 아사나(동작)에 집중되어있으며, 요가에서 가장 핵심으로 삼고 있는 우주와 마음의 구조관계에 대한 철학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체육이 인간의 신체적 활동, 그 중에서도 대근활동(大筋活動)을 통한 신체의 교육인 동시에, 이 신체적 활동을 수단으로 하여 이상적인 인간상, 즉 사회가 요구하는 지(知)·정(情)·의(意) 및 신체 각 측면의 조화를 통한 완성된 인격을 가진 인간을 만들려는 교육적 작용이라면 이는 요가에서 추구하는 수단과 목적측면에서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논의 절차는 요가의 본질과 구성을 토대로 우주와 마음의 구조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체육의 인간완성의 이해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요가의 아사나와 체육의 신체단련은 방편(수단)에 해당되며, 둘째 궁극의 목적은 인간완성=참진아를 찾는 데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사나와 신체단련은 인간의 철학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fundamental goal of yoga is to keep the peace and stability of the mind in place, and to be free of anxiety and confusion; this means to seek one’s true self (Atman). Yoga is one of the six philosophies of ancient Hinduism, and the yoga sutras represent the oldest yoga traditions. The yoga sutras were compiled by Patanjali and consist of a total of 196 simple maxims or aphorisms. The yoga sutras deal with eight components of yoga, called the Ashtanga. One of them, Asana, consists of natural-based gestures, connected with breathing and meditation in every posture. Pranayama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mind and body, allowing the body to balance itself, between a healthy body and Atman. The sports community believes that many problems can be solved through practicing yoga. However, in physical education, studies of yoga performance are mainly focused on Asana. On the other hand, studies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e and the mind, which is at the core of yoga, are insufficient. If the function of physical education is to create an ideal human body, or a human being with a complete personality through harmony based on knowledge, righteousness, and determination, then physical education matches the means and the purpose of yoga. This study discusses the structure of the universe and mind, and seeks to derive an understanding of human perfection in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nature and composition of yoga. This study found that physical training of Asana and physical education are the means. Furthermore, the ultimate goal of both is human perfection, which constitutes a true person. Lastly, yoga training and physical training should be preceded by a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