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20조의 개정 방안
Amendment to Article 20 of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김기영 ( Kim Gi Yeong ) , 박주형 ( Park Ju Hyung ) , 김선일 ( Kim Sun Il )
DOI 10.24055/kaps.21.3.2
UCI I410-ECN-0102-2019-300-001138754

집회·시위의 해산은 집회·시위의 자유라는 헌법상 국민의 기본권을 크게 제한하고, 경찰과 참가자 간에 충돌이 야기될 우려도 매우 크므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일정한 요건 하에서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해산을 다루고 있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20조는 자진해산 요청 또는 해산명령의 대상이 되는 집회·시위를 각 호에 열거해 놓았지만, 일부 집회·시위는 구체적인 해산요건이 전혀 규정되어 있지 않다. 물론 판례를 통하여 ‘타인의 법익이나 공공의 안녕질서에 대한 직접적인 위험이 명백하게 초래된 경우에 한하여’ 해산명령을 할 수 있다는 해석이 형성되어 있지만 집회·시위 해산의 요건을 명확하게 법률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집회·시위 해산의 헌법상 근거와 한계, 현행법의 규율체계와 판례, 그리고 국제인권기준과 경찰개혁위원회 권고안 등을 살펴보았고, ‘위험의 직접성·명백성’이라는 구체적 해산요건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집시법 제20조 제1항에 위험에 관한 별도의 해산요건을 적시하면서, 해산 대상이 되는 집회·시위의 유형이 열거된 각 호를 완전히 삭제하는 안과 각 호를 일부 수정하되 유지하는 안으로 그 개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dissolution of rallies or protests should be done very carefully under certain conditions in accordance with legitimate procedures, since the dissolution could limit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and raise the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the police and the participants. Article 20 of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which deals with dissolution, lists forms of rallies or protests that are subject to voluntary dissolution or dissolution orders, but other forms of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are not listed with specific dissolution requirements. Surely, through precedents, there is an interpretation that "only when there is direct and obvious risk to the interests of people or public order“, the dissolution can be ordered, but the requirements for the dissolution need be clearly defined in the law. In this article, we examined constitutional basis and limits of the dissolution of rallies and protests, current related laws, and precedents. In addi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from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Police Reform Commission, we proposed the revision of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from the aspects of directness and obviousness of a danger. Along with dictating specific conditions of the dissolution, we suggested two things. The first one was to erase some clauses and the second one was to revise some clauses and maintain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20.

Ⅰ. 서 론
Ⅱ. 집회·시위 해산의 헌법상 근거와 한계
Ⅲ. 현행법의 규율체계 및 판례의 입장
Ⅳ. 국제인권기준 및 경찰개혁위원회 권고안
V. 개정 방안
Ⅵ. 결 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