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도시의 문화적 공감대로서 콘텐츠씬의 인식: 콘텐츠 투어리즘 사례를 중심으로
Awareness of Contents Scene as a Cultural Empathy of Cities: A case of ‘Contents Tourism’
장원호 ( Wonho Jang ) , 정수희 ( Suhee Chung )
UCI I410-ECN-0102-2019-300-001117377

공감(Empathy)은 타인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통해 타인의 입장에서 그 사람의 감정을 느끼고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이다. 최근, 개인 간의 관계적 측면에서의 감정적 공감뿐만 아니라 사회를 유지하는 기본 원리로서 공감을 바라보는 ‘사회적 공감’에 이르기까지 ‘공감’의 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를 움직이는 새로운 동력으로서 공감의 문제에 주목하고,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 공감에 대한 공간적 적용으로서 ‘도시씬(urban scene)’에 주목했다. 도시씬은 도시를 소비의 공간으로 접근하며 도시공간들이 가진 고유한 속성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징들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도시씬 이론을 공감의 관점에서 재접근하고, 새로운 도시 소비의 형태로서 콘텐츠에 반영된 도시이미지를 소비하는 방식으로서 ‘콘텐츠 투어리즘’의 구체적인 사례를 적용하여 새로운 도시씬으로서 ‘콘텐츠씬’을 제안하고 그 의미와 가능성을 제시한다.

Empathy is the ability to feel,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 emotions of others from the standpoint of others. Recently, ‘sympath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not only in emotional empathy in relation to individuals but also in ‘social empathy’, which sees sympathy as a basic principle for maintaining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of empathy as a new driving force for modern society and focused on ‘urban scene’ as a spatial application for cultural empathy in the city. Urban scenes approach the city as a space of consumption, classify it according to its inherent attributes,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approaches the existing urban scene theory in terms of empathy. In addition, as a way to consume city images reflected on contents, a concrete example of ‘contents tourism’is examined, and a ‘contents scene’ is proposed as a new urban scene and its meaning and possibility are presented.

1. 서론
2. 도시의 문화적 공감대로서 콘텐츠씬
3. 도시의 문화적 공감대로서 도시씬
4. 콘텐츠투어리즘을 통해 본 콘텐츠씬의 형성 사례
5. 결론
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