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6
216.73.216.186
close menu
수직형 사다리 추락 방지 걸이
손민석 , 김지훈 , 최윤성 , 이정균 , 황의진 , 김남균
UCI I410-ECN-0102-2019-500-001717100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수직형 사다리는 건설업, 제조업, 광업, 등 대부분 업종에서 주로 사용하며 안전장치로는 등받이 울이 설치 되어있고, 근로자들이 안전대를 칸마다 걸어 오르내리는 구조이다. 하지만 근로자들이 칸을 오르내리면서 안전대를 사용하기에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규정대로 사용하지 않아 재해가 발생한다. - 고용노동부 2018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자료에 따르면 사망만인율이 전년 동기 대비 0.07%p 증가하였고, 사망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9.5% (2,142명) 증가하였으며, 재해율은 전년 동기 대비 0.06%p 증가하였다. 또한 재해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3.9% (12,457명) 증가하였다. 사고 사망자 통계를 보면 건설업 (485명, 49.9%)가 가장 많았으며, 이 중에 떨어짐 (추락 376명, 38.7%)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 수직형 사다리에서 발생하는 추락재해의 예방을 위해 본 개발품은 제동형 도르래를 사다리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장착하고 고정을 위한 고정 틀을 제작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해 사다리에 제동형 도르래를 설치하고, 안전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사다리를 오르는 과정에서 안전대의 고정위치를 지속적으로 변경해야하는 기존 작업방법에서 작업 전 한 번만 안전대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변경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였다. 상단에 설치된 고정도르래는 평상시 일반 도르래로 작동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나, 추락 등으로 인한 순간적인 외력이 발생할 경우 그 충격으로 인해 도르래를 고정했던 핀이 부러지며 도르래가 하강하며, 고정물에 접착해 놓은 톱니바퀴에 로프가 걸려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동형 도르래 외의 추가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추락방지 코브라를 병행 사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 본 개발품은 수직형 사다리를 사용해야 하는 여러 산업현장에서 쓰일 수 있으며, 기존의 고정식사다리의 안전장치, 즉, 울만 설치되어 있어 기상악화 , 미끄러짐 등에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과 근로자들이 칸마다 오르내리면서 안전대를 사용하기에는 번거로움이 있어 규정대로 사용하지 않는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활한 작업 수행과 인명피해를 방지, 근로자에게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그 전의 위험성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은 물론 투자비용 대비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업화 또한 진행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개발품의 보급 시 산업재해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떨어짐(추락) 사고에 대한 예방이 가능함으로써 국내 산업 재해율 감소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개발품 그림 별첨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