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과 관계 연결표현의 위계화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어미 ‘-어서, -니까, -길래, -느라고, -므로, -느니만큼’과 의존성 명사 구성 ‘-는 바람에, -기 때문에, -는 통에, -는 탓에, -는 덕분에’, 보조용언의 활용형 ‘-다 보니, -고 해서’, 용언의 활용형 ‘-아/어 가지고’를 모두 연결 기능을 하는 표현, 즉 연결표현으로 보고 이들의 제시 순서를 위계화하기 위한 조건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 인과 관계 연결표현을 위계화하기 위한 기준으로는 사전 및 교재의 중복도, 말뭉치의 빈도, 현행 교재에서의 제시 순서, 주제와의 연관성, 복잡도 등이 분석되었으며, 이에 본고에서는 최종적으로 이들에 근거하여 제시 순서를 배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connective expressions of causal relationships and present an effective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connective suffices and excluded compositions that had different morphological ranges. However, the present study includes connective suffices, dependent noun compositions,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and conjugated form of predicates compositions under the category of connective expressions, and explores the expressions focused on their semantic functions.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어서, -니까, -길 래, -느라고, -므로, -느니만큼’ for connective suffices, ‘-는 바람에, -기 때문에, -는 통에, -는 탓에, -는 덕분에’ for dependent noun compositions, ‘-다 보니, -고 해서’ for auxiliary predicate compositions, and ‘-아/어 가지고’ for conjugated form of predicates composition. As for the hierarchy standard, the study examined the order of presentation in Korean textbooks, repetition rate in dictionaries and teaching materials, frequency in corpus, difference in semantic functions, correlation with the topic, and the grammatical complexity.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e hierarchy of sequence to help learn these grammatical aspects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and from its objective review of related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