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소 권섭은 다양한 장르의 문학뿐만 아니라 음악, 그림, 풍수 등 다방면에 걸쳐 학문적 관심의 폭을 넓히고 방대한 분량의 저작을 남기었기에 18세기 예술사회사를 조명하는데 중요한 인물로 부각되고 있다. 본고는 그가 남긴 방대한 저작 가운데 「夢記」에 주목하여 그의 내면의식이 지향하는 바를 살펴보려 하였다.
먼저 꿈의 기록인 「夢記」를 전반적으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夢記」에 기재된 꿈의 서술 방식은 대부분 삼단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 둘째 「夢記」를 제작한 의도는 ‘徵驗性’과 ‘臥遊淸賞之資’에 있다는 점, 셋째 「夢記」는 작자 자신의 꿈 체험을 충실히 기록한 것이기에 몽유록에서 보이는 허구적인 요소가 거의 드러나 있지 않다는 점, 넷째 「夢記」의 「畵夢帖」은 산수지간에서 文酒로 소요하며 음영하는 내용을 주로 담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畵夢帖」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들은 대부분 몽중 산수 유람의 흥취를 주제로 하고 있기에 산수유기의 성격을 띤 것으로 보고, 그림과 꿈의 무의식이라는 두 가지 코드를 가지고 「畵夢帖」의 산수유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畵夢帖」의 산수유기는 여타의 산수유기와는 달리 회화에서 쓰이는 ‘印象描寫的’ 수법을 활용하여 산수를 묘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권섭이 꿈에서 본 산수의 풍경을 글로 쓰는 한편 하나의 화폭에 담아내려 기획하였는바, 그림에 대한 해설적 역할을 겸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산수의 풍경을 인상묘사적 수법을 활용하여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포인트만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畵夢帖」의 산수유기에는 ‘물’과 ‘누각’의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물’의 이미지는 어디론가 떠나고 싶어 하는 욕망의 반영이거나 권섭의 삶을 반추하는 매개체로 표현되었으며, ‘누각’ 역시 탈속을 지향한 무의식이 반영된 것이었다. 다시 말해, 「화몽첩」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물과 누각의 이미지에는 떠남과 탈속을 지향하는 권섭의 내면의식이 투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Okso(玉所), Kwonseop(權燮) was born rich as a son of noble birth but lived a life full of writing and sightseeing regardless of power and wealth. He is becoming an important person in shedding light on a social history of the 18th art because he broadened the academic interest and left an enormous amount of writing on music, paintings, and topography as well as various genres of literature.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his inner world, focused on Mong-gi(夢記), the record of dreams, among his various writing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ve method of dreams mentioned in Mong-gi mostly took syllogisms. Second, Mong-gi was written to exhibit the experience of indications and the material for hanging around and appreciating. Third, Mong-gi hardly showed fiction because the writer's experience of dreams was faithfully written, which was different from Mongyurok(夢遊錄). Fourth, Hwamongcheop(畵夢帖) from Mong-gi mainly covered the content of taking a stroll and reciting poems in mountains and waters.
Moreover, the works included in Hwamongcheop chiefly featured the attractive sightseeing of mountains and waters in dreams and took on a character of a documentary literature of mountains and waters. The documentary literature included in Hwamongcheop depicted mountains and waters using the impression-describing method, different from other documentary works of mountains and waters. It seems that Kwonseop deliberately portrayed the key scenic beauty using the impression-describing method, because Kwonseop expressed the scenic beauty of mountains and waters from his dreams in writing and further planed to draw a picture of the scenery. The documentary literature of mountains and waters in Hwamongcheop repeated the image of water and castles: The image of water reflected a desire to leave somewhere and was expressed as a vehicle of pondering upon his life and the image of castles included an unworldliness-oriented meaning. From this, the image of water and castles repeated in Hwamongcheop is considered to reflect Kwonseop's inner world where he continued to pursue the unworldl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