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2.248.107
18.222.248.107
close menu
}
KCI 등재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 군집에 따른 직무만족도, 자아탄력성, 내재적 동기의 차이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Ego-Resilience and Intrinsic Motivation by the Cluster of Burnout in Play Therapists
임효정 ( Lim Hyo-jung ) , 진미경 ( Jin Mi Kyoung )
DOI 10.17641/KAPT.22.2.4
UCI I410-ECN-0102-2021-100-000322957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군집 간에 직무만족도, 자아탄력성, 내재적 동기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직무만족도, 자아탄력성, 내재적 동기는 심리적 소진의 모든 하위요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놀이치료자는 3개의 군집으로써 소진이 낮은 ‘잘 조절하는 놀이치료자’, 소진 수준이 중간인 ’평균적인 놀이치료자‘, 소진이 높은 ’고갈된 놀이치료자‘로 분류되었다. 셋째, 직무만족 하위요인 중 직무관련요인, 경제적요인, 근무환경요인, 대인관련요인 그리고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중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그리고 내재적 동기 하위요인인 재미와 즐거움, 유능감, 자기선택감, 압박과 긴장에서 군집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소진 군집별 질적인 차이를 확인하고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 및 슈퍼비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lassifies clusters according to sub-factors of the play therapists' burnout and verifi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ego-resilience and intrinsic motivation among clus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Job satisfaction, ego-resilience, and intrinsic motivation of play therapists showed negative correlaion with all the sub-factors of burnout. Second, play therapis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well-adjusted play therapists’ with low burnout, ‘average play therapists’ with medium burnout, and ‘exhausted play therapists’ with high burnout.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the working itself, economic condition, working environments, human relationship and among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in the self-confid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fficiency, optimistic attitude and among the sub-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e fun and joy, competence, self-selection, compression and ten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luster. There is significance in point that this study identified qualitative differences among burnout clusters of play therapists which provided basic data on education and supervision to widen understanding of burnout and prevent burnou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