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5.235.157
18.225.235.157
close menu
}
KCI 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부정적 훈육방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Discipline Styles between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심숙영 ( Shim Sook Young ) , 심미영 ( Shim Mi Young )
DOI 10.22155/JFECE.26.2.121.140
UCI I410-ECN-0102-2019-300-001123706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수효능감과 부정적 훈육방식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4명과 그들이 가르치는 유아 429명이 참여하였다. 전문성 인식, 교수효능감, 부정적 훈육방식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전문성 인식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에서 교수효능감과 부정적 훈육방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훈육방식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부정적 훈육방식이 낮을수록 유아의 문제행동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아졌고, 부정적 훈육방식은 낮아졌으며, 이는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로 이어졌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문성인식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through the sequential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and discipline style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29 children aged 2-5 years attending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224 teachers in charge. The teachers reported the questionnaires of their professional recognition, teaching efficacy and discipline styles and thei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first, higher professional recogni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teaching efficacy. Second, higher teaching efficacy was associated with fewer negative discipline styles. Third, fewer negative discipline styles was related to fewer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Finally, higher professional recogni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teaching efficacy, and higher teaching efficacy was related to fewer negative discipline styles, which in turn led to fewer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to enhance teaching efficacy, lessen negative discipline styles and protect against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