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9.153
3.14.79.153
close menu
KCI 등재
변증법의 변증법적 운동 - 모순 변증법에서 코뮨 변증법으로
The dialectical movement of the dialectic : from the dialectic of contradiction to the dialectic of commune
이성백 ( Lee Seong Paik )
UCI I410-ECN-0102-2019-300-001150532

변증법의 재구성을 모색하는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 문제를 다룬다. 첫째는 현대 변증법의 대표적인 사상인 헤겔과 맑스의 변증법을 오늘날의 시대적 지평으로부터 독해한다. 두번째로 20세기 후반기 변증법에 대한 가장 강력한 비판인 들뢰즈의 변증법 비판을 고찰하면서 변증법의 편에서 답변을 시도해 본다. 그리고 이 두 가지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새로운 변증법 개념을 결론적으로 제시한다. 헤겔에서 맑스와 레닌에 이르는 “모순 변증법”은 자본주의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현대시민사회의 부정성과 모순성‘만’을 개념화하고 있는 ‘현실’ 변증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부정적인 현실을 지양하기 위해 요청되는 새로운 이념적 원리를 담고 있지 못하다. 그런데 헤겔과 맑스의 논의를 다시 살펴보면, “모순 변증법”과는 다른 변증법 개념, “코뮨 변증법”이라고 부르고자 하는 새로운 이념적 차원의 변증법이 있는데, 이 코뮨 변증법이야말로 변증법의 참된 이념이다. 코뮨 개념은 “자유로운 개인들의 자유로운 연합”으로서 중세 도시에서 역사적으로 기원하였다. 들뢰즈의 변증법 비판의 핵심은 대립과 모순가 차이를 억압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바로 차이, 즉 개인들의 단특성이 그의 철학이 추구하는 핵심이다. 차이의 철학은 코뮨 변증법의 바깥에 있지 않다. 자유로운 개인들의 자유로운 연합이란 코뮨 변증법의 근본정의에서 드러나듯이, 차이의 철학이 추구하는 개인들의 단특성이 바로 코뮨 변증법의 출발점이자 그 핵심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wo issues while attempting to reconstitute the dialectic. First, this study reassesses the dialectics of Hegel and Marx, the representative modern dialectical thoughts, from the comtemporary perspectives. Second, it also reconsiders the critique of the dialectic by Deleuze that has most powerfully influenced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dialectics in the late 20th century. Then, combining these two issues, this paper suggests a new conception of the dialectic in the conclusion. The “dialectic of contradiction” of Hegel, Marx and Lenin is the one on the real level, which conceptualizes ‘only’ the negativity and the antagonism of the modern civil society. It does not include the dialectical logic on the ideal level which is required in order to sublate this negative reality. In the dialectical thoughts of Hegel and Marx, I can find the different dialectical concept from the dialectic of contradiction, which I will call the “dialectic of commune.” This is the true idea of the dialectic.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commune was the medieval city, whose constitutive principal was the “free association of the free individuals.” The kernel of the critique of the dialectic by Deleuze consists in the argument that the opposition and contradiction oppress the difference. The difference, namely the singularity of the individual, is the highest value of Deleuzean philosophy. Philosophy of the difference is not outside of the dialectic of commune. The free association of the free individuals is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dialectic of commune. Thus this paper argues that the difference, the singularity of the individual, is nothing but the starting point and also the core of the dialectic of commune.

1. 변증법 - 철학속에서의 ‘님을 위한 행진곡’
2. 변증법의 사회적 원천 - 현대시민사회의 분열성
3. 변증법의 합리적 핵심으로서의 모순 변증법
4. 변증법의 참된 이념으로서의 코뮨 변증법
5. 코뮨의 역사적 기원: 중세 자치도시
6. 코뮨 변증법과 차이의 계보학의 조합
7. 결론에 대신하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