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월 다보스포럼에서 발표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다양한 기술 적용 분야의 하나로서 무인비행장치인 드론 시장은 미래의 교통체계의 커다란 변화와 관련된 중요한 분야로 급속하게 확대 발전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드론에 대한 관심은 국가자격증의 폭발적인 수요로 연계되고 있으며 드론조종자 수도 2015년 400여명에서 2018년 기준 17,000여명을 초과하면서 교육환경과 안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드론교육 현황과 함께 교육환경 평가를 위해 설계된 DREEM (Dundee ready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모형에 근거하여 조종자의 안전의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절차 준수를 포함한 전반적인 안전의식에 영향을 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drone market, an unmanned aerial vehicle, is rapidly expanding and developing into an important area related to the huge changes in the traffic system of the future. With various technologies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drones, mentioned at the Davos Forum in January 2016, interest in drones is emerging as an explosive demand for national certificates. The number of drone pilots, which was only 400 in 2015, is continuing to surpass 17,000 as of 2018.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afety perception of the pilots based on the DREEM (Dundee ready environmental assessment) model designed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long with the current state of drone education in Korea. Th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pilot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ontributes to the overall safety perception, including compliance with procedures.